○ 玉 (구슬옥): 구슬은 일반 쓰임은 장신구이다.여러구슬을 꿰어야 장신구 구실을 한다 속담에 구슬이 서말 이라도 꿰어야 보배가 된다는 말이 있다. 구슬이 꿰여져 있는 상태를 한자는 많은것을 3개로 줄여 쓰는데 옆으로 구슬3개를 대나무에 쓸수 없어 세로로 새웠고 꼭지에 실 매듭처럼 표시가 있었으나 미를 가미 없어져서 王자가 되었다.
구슬옥의 王은 간격이 똑 같이 쓰였고 임금왕의 王은 도끼를 표현한 글자고 도끼는 권위의 상징이다. 임금왕 王자는 위의 간격은 좁고 밑에 간격이 넓었으나 사용 도중 혼동이 오게 되서 구슬옥이 임금왕과 구별하기위해 점을 찍어 玉으로 쓰였다.
朱(붉을주)에 玉자를 써서 珠(구슬주) 가 됨- 여의주, 주렴, 주산할때 쓰임
理(다스릴리): 옥을 다듬어서 아름다운 결을 드러낸다 .즉 옥을 다듬는다는 뜻
옥도 다듬지 않으면 돌에 지나지 않는다
現(나타날현) : 이자 역시 옥을 다듬어 결을 나타난다는 뜻
碧(푸를벽) 은 玉(옥)과 白(흰백) 과 石(돌)로 부수자로 이루워져 있고 흰백자가 음 변화로 벽이 된 글자
狂(미칠광)은 犬(개견)+王(임금왕)으로 이루워진 글자로 玉자는 다른 글자와 구성을 이루는데 왼쪽에 쓰이고 王자는 오른쪽에 쓰인다
○ 瓜(오이과) : 이렇게 쓰면 6획이 되므로 안되고 가운데 글자를 2획으로 써야한다.
양쪽으로 오이 넝쿨이 있고 가운데 오이가 달린것을 표현한 글자
木瓜(모고): 모과, 모서리, 술잔을뜻
빙어를 과어라고도 하는데 오이 맛이 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 瓜年: 16세를 말함- 로미오(18세)와 줄리엣(16살) , 이몽룡(18세)과 춘향이(16세)
이팔청춘도 16세를 말함
* 瓜 田 不 納(들입납) 履(신리) ; 오이밭에서 신발을 고쳐 신지마라 - 오해할 짓을 하지마라는뜻
孤(외로울고) = 요즘 황혼 이혼이 많은데 50대 여성들에게 필요한것 4가지를 말하라하니 돈, 건강, 친구, 딸을
50대 남성들은 아내, 부인, 마누라, 안사람(처)를 말했다함
呱(울고) : 입으로 운다는뜻
오리가 처음 태어나면 처음 본것을 엄마로 각인 하고 쫗아 다닌다 하고 애기들은 태어나
자신을 보호해 달라고 울음으로 각인 시킨다 한다. 만약 울지 않으면 그 애기는 죽는다 . 이유는
엄마 뱃속에 양수 속에서 숨쉬고 있다가 세상 밖으로 나오면 폐로 숨을 쉬어야 하기때문에 양수를
토해내야 하므로 울어야 한다.
*요즘 소아마비는 백신이 개발 되어 주사로 예방이 가능하므로 후천적인 병이고
뇌성마비는 선천적인 병이다
狐(여우호) : 여기의 犬은 야생동물로 늑대를 길들여 가축으로 된것이기에 야생동물과 관련될때 쓰임
九 尾(꼬리미) 狐
弧(활호) : 괄호할때 쓰임
瓢( 박표, 표주박표)
○瓦 (기와와 , 실패와) :암기와 숫기와가 있는 것을 표현한 글자
미국 대통령이 사는 곳을 白 堊(백토악)館(집관) 이라 하고 한국 대통령이 사는 곳은 靑瓦垈(터대)라 하는데 박정희 대통령 시절에는 경 武(굳셀무)대로 불렸는데 이 무자를 써서 데모와 시위가 끊이지 않는다 해서 청와대로 바뀌었는데 여기의 청와란 옛날엔 기와를 흙으로 빚어 구워냈기 때문에 청자를 만드는법과 같았다고 한다. 이것을 가업으로 자식에게 가르쳐 주지 않고 혼자만 안다고 해서 속담에 청기와장수와 같다라는 말이 생겼다고 한다. 이 청기와는 귀하기 때문에 아무 곳에나 흔하게 쓰인것이 아니라 궁궐에서도 임금님이 중요하게 머무는 곳에만 사용했다한다. 그래서 청와대라고 했다한다.
瓦자는 구워서 만든 것을 대표하기 때문에 그릇과 관련된 글자에 같이 쓰임
甑(시루증) , 瓷(오지그릇자, 질그릇자) - 次(버금차)의 음변화로 자가 되고 瓦를 써서 토기를 대표, 甁(병병)
姿(맵시자)
瓦가 기와에 실을 감았다 해서 실패라는 뜻도 있다
弄(희롱할농) 瓦 之 慶(경사경) : 딸이 태어나면 실패를 갖고 놀게 해서 딸이 태어남의 기쁨을 표현한말.
弄 璋(반쪽혿장) 之 慶 ; 아들은 구슬을 갖고 놀게 했고 아들의 탄생 기쁨을 표현한말
○ 甘(달 감) : 입술을 벌려 그 속을 표현한 글자 그래서 단맛과 관련되면 다른 글자와 같이 쓰는 글자
五 味(맛미) 子 - 단맛 , 신맛 , 짠맛 , 쓴맛 , 매운맛이 있는데 매운맛은 통각에 속하고 나머지는 미각에
속한다.
*감초, 감탄고토, 감언이설, 감수, 양약구호(쓴약이 몸에 좋다는뜻) 등에 쓰이는 글자
甘자는 음의 역활을 한다
柑( 귤나무감, 감자나무감) , 疳(감질감)-먹어도 배고프다는 뜻 , 紺(감색감,반물감) , 甛(달첨)
○ 用 (쓸용, 쇠북용-중요한 악기를 사용한다해서 된 글자)
울타리를 표현한 글자가 아니라 종을 갈라서 표현한 글자
뜻이 같은 글자로 鐘(쇠북종 = 金甬(길용)으로 써도 됨) 을 鍾(술병종) 으로 쓰면 안된다.
甬( 길용, 쇠북꼭지용) 用이 다른 글자와 쓰이면서 음의 역활을 한다.
踊(뛸용) -止는 발과 관련된 글자
*勇(날랠용)은 원래 甬에 力을 써야 하나 요즘 田에 力을 써도 통용이 된다.
甫(클보) , 補(기울보) , 浦(물가포) , 溥(넓을부), 펼부(넓을부에 삼수변을뺀 글자) , 簿(문서부, 장부부)
薄(엷을박, 얇을박), 博(넓을박)-여기서도 甬자를 田자 처럼 쓰면 안됨 , 誦(욀송)-암송 낭송할때 쓰임
通(통할통) , 桶(통통)- 우체통 휴지통 깡통등에 쓰임 , 痛(아플통)-통증 고통 진통 산통 분통등에 쓰임
ㅂ이 보에서 부로 부가 포와 박으로 박이 통으로 음변화를 알 수 있다.
○ 田(밭전, 사냥할전) - 밭을 일구기 위해 쉬운 방법으로 불을 이용 화전을 하다보니 불에 놀란 동물들이 나
타났고 그 동물들을 사냥했다해서 두가지 뜻이 있다.
글자가 문화를 나타내듯 모든 농토를 뜻는 글자다.
수렵생활이 끝나고 사람이 모여 살다 보니 군주가 생겼고 군주의 땅을 백성들에게
나눠주고 거기서 세금을 겆고 하는 井 田 法을 만들게 되었다.
우리나라 에서만 사용하는 한자 = 국자라 하는데 畓(논답) , 垈(터대) , 欌(장농장) ,
焚(불사를분)- 밭을 갈기위한 쉬운 수단
鈿(비녀전) - 나전칠기에 쓰임
畸(뙈기밭기) - 온전치 못한 땅-기형아에 쓰는 글자
界(지경계) - 地境(지경경) = 땅의 경계를 말함
界는 틀린 글자고 田 밑에 介(끼일개) 를 쓰는것이 맞다.
○ 疋( 발소) 필필이라고 쓰는 사람도 있는데 쓰면 안된다= 匹 (필필) - 足(말족)=무릎의형상
다른 글자와 쓰여서 음의 역활을 한다.
* 손 그러면 又(또우)
* 발 그러면 止(그칠지)
步(걸음보)는 위에 발 밑에 글자는 반대발을 나타냄
趾(발지)
疎(트일소) , 疏(트일소) -소탈 , 상소에 쓰임 , 流(흐를류) , 育(기를육) -머리되는 글자는 子 를 거꾸로 쓴 자
蔬(푸성귀소) , 楚(가시나무초,나라이름초) - 나무를 빽빽하게 가시나무를 심었다는 뜻(초나라사람 항우 의 사
면초과에서 생긴 글자
礎(주춧돌초) ; 땅에 집지을 때 기초 -정초, 초석을 다지다에 쓰이는 글자.
胥(서로서):인체와 관련됨
壻(사위서) = 女胥(사이서) -동서등에 쓰임
地, 均(고를균), 坤(땅곤)등 土를 많이 쓰는데 왼쪽에 주로 쓰이며 사위서 壻의 앞에 土를 士로 쓰는 경우가 있는데 士는 왼쪽에 오는 경우가 거의 없다.그러므로 선비사를 쓰면 틀린 글자다.
痛(아플통)--음의 역활
疳(감질감)
○ 위 글자에 들어가는 병들녁자는 사람이 병들어 침상에 누워 있는 모습을 세워서 표현한 글자
사람들은 물가 쪽에서 살았기 때문에 움집을 지을때 땅을 파고 그위에 기둥을 세우고 집을 만듬
坐(앉을좌) ; 땅 위에 두 사람이 있는 표현
병들녁자는 병과 관련된 글자에 들어감
癌(암암) , -
岩(바위암) 는 산에 돌 덩어리라는 뜻
痴(어리석을치) - 치매할때 쓰임 = 癡(어리석을치)
痘(천연두두 , 마마두) , 痔(치질치) , 疹(홍역진) , 癩(문둥병나) -나병을 현재 한센스시병이라한다.
○ 걸을발 : 두 발이 앞을 향해 서있고 엇 갈려 걸음을 걷는 다는 뜻을 표현한 글자
止는 步(걸음보)의 변형된 글자
걸을발
칠수(몽둥이를 들고 있는 형상)
활궁
發 :( 쏠발 , 필발) : 활이 나간다는 뜻
짓밟을발 = 쏠발자에 弓자를 뺀 글자
潑(물뿌릴 발) - 활발 , 제기발랄 에 쓰이는 글자
撥(다스릴 발) - 반발등에 쓰이는 글자
醱(술 될발) - 酉자가 들어가 발효의 의미
'부수로 한자정복(중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羽(깃우)~臼(절구구) . 2009.5.26.화 맑음 수업내용 (0) | 2009.05.27 |
---|---|
짐승발자국유 ~양양 羊(2009.5.19.화.맑음) (0) | 2009.05.20 |
白(흰백) ~示(보일시) 까지(2009.5.12.화.아침에만비오고바람불어추움) (0) | 2009.05.13 |
부수 제 4획~5획(2009.4.21.목.비오고흐리고 바람불고) (0) | 2009.04.24 |
부수 제4획 (0) | 2009.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