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소학

以衣溫我하시고

최흔용 2011. 7. 26. 15:38

    以 衣 溫 我      하시고     以 食 活 我      로다.

   

                               옷으로써 나를 따뜻하게 하시고  밥으로 나를 배부르게 하셨도다.

 

     恩 高 如 天       하시고       德 厚 似 地       하시니

 

                               은혜의 높기가 하늘과 같으시고   덕의 두텁기가 땅과 같도다.

 

     爲 人 子 者          는          曷 不 爲 孝       리오.

 

                               사람의 자식된자로써   어찌 효도 하지 않으리오.

 

     欲 報 深 恩       인데       昊 天 罔 極      이로다.

 

                                깊은 은혜를 갚고자 하나 하늘처럼 넓고 커서 다함이 없도다. 

 

以  ( 써 이 )   

               ※    以   A     爲      B      <  A  로써 B 로 여기다.>

衣  ( 옷   의 )  -  여기서 衣 는 어린아이 옷 즉 襁 (포대기 강 ) 褓 ( 포대기 보 )를 뜻한다.

       民 以 食 爲 天

       衣 食 定 而 知 禮 節 ( 의,식이 만족해야 예절을 알 수 있다.)

       無 恒 産 無 恒 心 - 항심이 없으면 항산도 없다. 즉 恒 ( 항상항 - 변함없는 마음 ) 은 衣 와 食 이 만족이 되야 産 (낳을 산 )

                                   餘 ( 남을 여 ) 裕 ( 넉넉할 유 , 여유로울 유 )가 있다고 공자와 맹자가 가르치고 있다.

溫 ( 따뜻할 온 )  水 +  어질 온< 口 : 에울 위 + 人 :사람인 *  皿 : 그릇명 = ( 죄수를 수발하는 사람 마음을 의미) 이 합쳐진 글자

       縕 ( 헌솜 온 )   瘟 ( 염병 온 )   瑥 ( 사람이름 온 )    (성낼 온)

我 ( 나 아 )    하시고

以 ( 써 이 )

食 ( 밥 식 )  : 뚜껑이 있는 밥 그릇을 표현한 글자.

               食 ( 밥 식 ) : 일반적인 밥

               食 ( 밥 사 ) : 거친 밥 을 뜻 한다.

               簞 ( 대광주리 단 ) 食 ( 밥 사 ) 瓢 ( 박 표 ) 飮 ( 마실 음 )  : 도시락에 담긴 밥과 표주박에 든 물로 소박한 밥상을 뜻함

                    동사 +  먹다 =  食  ( 먹을 식 ) 으로  쓰고 < 위에서 아래로 행해지는 행위 >

                    타동사 + 먹이다 =   食 ( 먹일 사 ) 를 쓴다.

                 ※ 사자소학 중에는   먹이다의 의미로 쓰여지는 食 자는 없다.

活 ( 살 활 ) : 水 :물 수 + 舌  혀 설 의 형태이다 .

                   石 (돌 석) 의 口 는 입구가 아니 듯 舌 (혀설)도  口 : 입구가 아니다.

                   水 + 氏  + 口 가 活 의 본자이기 때문이다 舌이 소전에서 와변이 되어 변한 글자다.

             ( 입막을 괄 ) 

         括 ( 묶을 괄 )      刮 (긁을 괄, 눈 비빌괄 )       适 ( 빠를 괄, 맞을 적 )     

         話 ( 말씀 화 )   =  䛡 ( 말씀화 )   - 본자

           - 詞 ( 말씀 사 )  說 ( 말씀 설 )  談 ( 말씀 담 ) 

我 ( 나 아 )     로다.

恩 ( 은혜 은 )   口 (에울 위)  + 大  = 因 ( 자리 인, 말미암을 인 ) :  사람이 누워 있는 자리나 공간을 뜻한다.

                      圓 ( 둥글 원 )  團 ( 둥글 단)   

         咽 ( 목구멍 인 , 목멜 열 )  - 耳 (귀이) 鼻 (코비) 咽 (목구멍인) 喉 (목구멍 후) 科 (과정과)

                              목매다 - 목맬열 (×)   목메다 - 목멜 열 (○ )  

                             ※ 嗚 ( 탄식할 오 ) 咽 ( 목멜 열 )   - 시험에 잘나오는 글자   ( 음이 두개인 글자 )

         姻 ( 혼인할 인 )  : 시집가다의 의미   

             예식장 봉투에 結 婚 은 일본사람들이 쓰는 말로 남자 중심적인 말로  우리나라  남자가 장가 간다는 의미인 

             婚 姻 ( 혼인) 이라고 써야 옳다.

             再 (두번재) 娶 (장가들취)  역시 일본인들이 쓰는 말이고 再 嫁 ( 시집갈 가 ) 라고 써야 한다.  

         煙 ( 연기 연 )  =  烟 ( 연기연 )   동자이다.

                垔 (막을 인 ) : 자루를 지고 땅을 보고 있는 사람을 표현한 글자.

                    중국은 물에 의한 피해와 전쟁이 많았다는 증거인 글자.

                     政治 란 물을 잘 다스리는 일이 나라를 잘 다스리는 일이라는 의미 이다.

                     등용문은 우임금이 홍수를 막기 위해 산으로 물길을 뚫었다는데서 나온말이다.

                湮 ( 잠길 인 )

         茵 ( 자리 인 )

高 ( 높을 고 )

如 ( 같을 여 )

天 ( 하늘 천 )  : 두 팔,다리를 벌려 서 있는 사람의 머리를 강조한것을 표현한 글자.

                       의식세계가 발전하면서 머리 아래에 신체가 있고 머리 위에 하늘이 있다는것을 표현하였다.

                        (人:사람인 乃 : 이에내 天 : 하늘 천 )

         呑 (삼킬 탄)

         忝 (더럽힐 첨 ) - 무성음이 유성음으로 변하지만 더러 유성음이 유성음으로 변화  ㄷ, ㅌ - ㅈ, ㅊ으로 변화 탄이 첨으로

                  心 (마음심 ) -  忄( 심방 변 ) - 㣺 (밑 마음 심 )

            㣺 (밑마음 심) 이 들어 가는 한자 : 添 ( 더할 첨) , 恭 (공손할 공) , 慕 (사모할 모 )가 있다.

 德  =  悳  ( 덕 덕, 큰 덕 ) - 고자로서 德 의  본자 이다.

          直 ( 곧을 직) : 눈 앞에 있는 물체가 곧은지를 살펴보는 모습을 표현한 글자.

          곧은 마음으로 학문과 인격과 학식을 갖추고 있는 사람의 행동을 보여 知 行 一 致 즉 덕을 행동으로 나타내라는 의미다.

         植 ( 심을 식 )

         殖 ( 번성할 식 , 번식할 식 )

             歹 ( 뼈 앙상할 알 ) 이 들어 가는 글자는 죽음과 관련 死 (죽을 사) , 殉 (따라 죽을 순 ) 殞 (죽을 운) 처럼 죽음과 관련되

                      었지만 殖  ( 번성할 식 ) 은 죽은것을 살려 냈다는 의미이다.

          置  ( 둘 치 ) : 그물을 풀어 놓은 상태를 의미

             䍏 , 网 , 罒 , 罓 ( 그물 망 )  

             羅 ( 새그물 라, 벌일 라 )  -

             門 前 成 市  ,  門 前 雀(참새작) 羅 벼슬할때는 문전성시를 이루지만 벼슬을 그만두면 집 마당에 새 그물을 친다는 말

          値  ( 값 치 )

          矗  ( 우거질 촉 , 우뚝할 촉 )

              彳( 자축거릴 척 )  - 徘 (노닐 배 ) 徊 ( 노닐 회 ) 彷 (노닐 방, 동네방 ) , 徨 (노닐 황 )

          聽 ( 들을 청)

厚 ( 두터울 후 ) 밑이 뾰족고 두터운(두꺼운) 그릇을 언덕 벽면에 기대어 있는 모습을 표현한 글자

          享 ( 누릴 향 ) - 높은 토대 위에 새워 진 집 표현한 글자.

似 ( 같을 사 )

地 ( 땅 지 ) [  土 : 흙 토

                 [  也 : 어조사야 - 뱀의 모양에서 나온 글자로써 它 ( 뱀사, 뱀타 ) 와 也 ( 어조사야 ) 가 있다 ( 한배에서 나온 글자).

                            또 虫 ( 벌레 훼) 역시 長蟲 인 뱀을 표현하였다.

                            也 는 어조사야라는 이름으로 쓰이고 它 ( 뱀 타 ) 는  虫 (  벌레 훼 ) 를 더해 蛇 ( 뱀 사 )  虵 ( 뱀 사 ) 로 쓰임

                   戉 ( 도끼 월 ) , 戊 ( 다섯째천간 무 ) 戌 ( 개 술 )  모두 의장용 도끼에서 나온 글자 이다.

            駝  ( 낙타 타 )

            舵  ( 키 타 )

            他  (  남 타 , 다를 타 )

            池  ( 연 못 지 )

            馳  ( 달릴 치 )

            施  ( 베풀 시 )  - 㫃 ( 깃발 언 ) 에서 깃발을 널리 펼쳐 베풀어져 모양에서 베풀다는 의미를 가짐

            弛  ( 늦출 이 ) - 활 시위를 풀어 놓은 상태 의미

爲 ( 할 위 , 될 위 , 위할 위 , 삼을 위 )  :

            爪 ( 손톱조 ) ,  爫 ( 손톱조 머리 ) - 무언가를 붙잡으려는 손을 표현한 글자. + 象 (코끼리상 ) 이 합쳐진 글자로써

               사람의 손으로 코끼리를 다루고 있는 모습을 표현한 글자 이다.

              코끼리 한마리가 장정 7 ~ 8 명의 일을 해서  생활에도 이용 했지만 몇일 굶겨 꼬리에 불을 붙여 날뛰게하는 방법으로

               전쟁에도 이용했다고 한다. 將 ( 장수 장 ) 棋 ( 바둑 기 ) 의 象 을 보면 알 수 있다.  ( 兵 , 卒 , 士 , 軍 , 砲 ( 대포포) )

               나폴레옹이 알프스를 넘을 때에도 코끼리를 이용했다고 한다.

               코끼리의 송곳니는 상아가 아니라 송치가 되어야 하지만 이미 정해진 약속이므로 바꿀 수가 없다.

            僞 ( 거짓 위 )  - 僞藥 효과 ( = 플라세보 placebo )

            采 ( 캘 채 ) ,  受 ( 받을 수 ) , 爭 ( 다툴 쟁 )

人 ( 사람 인 )

子 ( 아들 자 )

者 ( 놈 자, 삶을 자 ,사람 자 ) : 콩대같은 식물을 물에 끓여 삶는 것을 표현한 글자로 본의가 삶을 자 자이다. 하지만 본의는 빼앗

               기고 煮 ( 삶을 자 ) 가 본 뜻을 대신 하였다.

            煮 ( 삶을 자 ) 豆 ( 콩 두 ) 燃 ( 불사를 연, 불탈 연 ) 萁 ( 콩깍지 기 )  : 콩을 삶기 위해 한 뿌리에서 자란 콩깍지를 태운

               다는 뜻으로 조조가 죽고 두 아들 형인  조비 (위문제) 가  동생인 조식의 글재주를 시기하여 일곱 발자국 안에 시를

               짓게하자 동생 조식이 지은 칠보시 안에 나온 말로 형제간의 싸움을 뜻한다.

          奢 ( 사치할 사 )

          署 ( 관청 서 )

          緖 ( 실 마리 서 )

          暑 ( 더울 서 )

          著 ( 드러날 저 , 나타날 저, 붙을 착 )  = 着 ( 붙을 착 )

          猪 ( 맷 돼지 저 )

          箸 ( 젓가락 저 )

          楮 ( 닥나무 저 )

          屠 ( 죽일 도 )

          都 ( 도읍 도 )

          睹 ( 볼 도 )

          堵 ( 담 도 )

          賭 ( 걸 도 , 도박 도 )

          諸 ( 모두 제 )

曷 ( 어찌 갈 )  - 曰 ( 가로 왈 )

                        匃 ( 빌 개, 빌 갈 ) : 칼이 부러져 쓰임을 잃어  버렸다는 의미로 사람이 없어 빌린다는 뜻

                             勹  - 사람의 형태 이지 손으로 무언가를 움켜쥐는 형태의 글자 勹 (쌀 포 ) 가 아니다 .

                            亾 -  亡 ( 망할 망 , 없을 망 , 잃을 망, 죽을 망 )

          渴 ( 목마를 갈 )

          葛 ( 칡 갈 )

          褐 ( 털옷 갈 )

          蝎 ( 전갈갈, 할갈 ) - 蠍 ( 전갈갈 )

          謁 ( 아뢸 알 , 알현할 알 )

          揭 ( 들 게 ) 

          歇 ( 쉴 헐 )

          靄 ( 아지랑이 애 )

不 ( 아니 불 ) : 꽃잎을 달고 있지 않다는 의미로 꽃잎이 시들어 떨어지고 꽃받침이 늘어진 형태를 표현한 글자.

               不 實 = 부실 또는 불실로도 읽힌다.

               不 動  - 不 다음에 ㄷ,ㅈ,음이 올 경우 구개음화 되어 부로 읽는다.

               不 知  不 識 ( 알식 ) 은 예외 이다.

          否  ( 아닐 부 )

          杯 ( 잔 배 )

          丕 ( 클 비 )

          胚 ( 아이밸 배 )

爲 ( 할 위 )

孝( 효도 효 )  - 老 ( 늙을 노 ) 의 匕 (비수 비 )는 지팡이를 子 ( 아이 ) 대신 부축하고 있는 모습을 표현한 글자다.

              孝 의 子 는 아들이 있고 없다는 의미가 아니다.

              자식이 지팡이를 부모님께 드리는것이 아니다. 남들이 하는 것이다.

          哮 ( 성낼 효 , 울부짖을 효 )

          酵 ( 술 밑 효 , 술괼 효 )

欲 ( 바랄 욕, 하고자할 욕 )

          谷 ( 골 곡 ) 

          俗 ( 풍속 속 )

          浴 ( 목욕할 욕 )

          欲 ( 바랄 욕 )

          慾 ( 욕심 욕 )

          裕 ( 넉넉할 유 )

報 ( 갚을 보 )  - 여기서 及  ( 일 할 복 ) 이다 . : 꿇어 앉혀 ( 굴복하는 있는 사람 )  잡고 일 하는 모습을  표현한 글자

                 服 ( 옷 복 , 다스릴 복 )

           及 ( 미칠 급 )  - 앞서 가는 사람을 뒤에서 앞 사람 몸에 손이 닿는 모양을 표현한 글자

                 級 ( 차례 급, 등급 급 )

                 吸 ( 숨 들이쉴 흡 , 마실 흡 )

                 汲 ( 물 길을 급 ) - 우물의 귀틀에서 나온 글자로 급급하다에 汲汲 하다로 쓰지 急急( 미칠 급)하다를 쓰면 안 된다.

                 㤂 = 急 ( 급할 급 ) 의 본자이다.

     報 에 及 을  丿 ( 삐침별 ) 로 쓰면  報 ( 알릴 보 ) 라는 뜻이 되므로 안되고 丨 ( 뚫을 곤 ) 으로 써야한다 .

             幸 ( 다행행)  - 수갑을 표현한 글자

                  執 ( 잡을 집 )

                  桎 ( 차꼬 질 ) - 발에 차는 형구

                  梏 ( 쇠고랑 곡 , 질 곡 ) - 손에 차는 형구

深 ( 깊을 심 )  : 水 ( 물 수 ) 氵( 삼수 변 ) +  穼 ( 깊을 삼, 깊을 담 ) - 穴 ( 구멍 혈) 깊은 구멍을 살펴 보는 형태를 표현한 글자.

              探 ( 찾을 탐 )

恩 ( 은혜 은 )

昊 ( 하늘 호 )  - 원래는 日 ( 날 일 ) 이다 曰 ( 가로 왈 )이 아니다.= 녹비의 가로 왈

天 ( 하늘 천 )

罔 ( 그물 망 , 없을 망 ) = 罒 + 亡 이 본자이다.음을 나타내기 위해 亡 을 붙인 글자다.

              網 ( 그물 망 )

              亡 ( 없을망 , 죽을 망, 잃을 망 )

                  소전에는 구석진 곳에 숨어서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해석했으나 갑골문자에는 부러진 칼로 쓰임이 없다는 표현한

                  글자다.

               望 ( 보름 망, 바랄 망 ) 사람이 땅에 서서 달을 보고 있는 모습을 표현한 글자로 보름달을 보고 소원비는형태로 추정

               忘 ( 잊을 망 )

               忙 ( 바쁠 망 )

               妄 ( 망년될 망 )

               茫 ( 망망할 망, 아득할 망 )

 

               盲 ( 소경 맹 )

               荒 ( 거칠 황 )

極 ( 다할 극 )  : 木  ( 나무목 )  +

                       亟 ( 빠를 극 , 재 빠를 극 ) : 따뜻하며 공기가 희박하고 위 아래가 막힌 동굴속에서 숨가쁘게 입을 벌리고 숨쉬며

                            손을 재빠르게 움직이는 것을 표현한 글자.

                     - 登 ( 오를 등 ) 極 ( 다할 극 ) 은 임금이나 대통령 에게만 사용하는 글자 이다.

               棟 ( 마룻대 등 , 용마루 등 ) 

                         마룻대 :  집의 가장 높은 곳

                         툇마루 : 마당 보다 높은 곳

                  宗 ( 마루 종 )

'사자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父 母 呼 我 어시든 唯 而 趨 之 하고  (0) 2012.07.18
父生我身하시고  (0) 2011.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