父 母 呼 我 어시든 唯 而 趨 之 하고
부모님께서 나를 부르시면 곧 대답하고 달려 갈 것이며
父 母 之 命 은 勿 逆 勿 怠 하라.
부모님의 명령은 거스르지 말고 게을리도 말라.
侍 坐 親 前 어시든 勿 踞 勿 臥 하며
어버이를 모시고 앞에 앉을 때 에는 걸터 앉지 말고 눕지 말 것이며
膝 前 勿 坐 하고 親 面 勿 仰 하라.
무릎 앞에 앉지 말고 어버이 얼굴을 빤히 쳐다 보지 말라.
父 ( 아비 부 )
母 ( 어미 모 )
呼 ( 부를 호 ) : 口 ( 입 구 ) + 乎 ( 어조사호, 숨내쉴 호 ) - 지팡이와 입기운을 표현한
글자로 老 ( 늙을 노 ) 考 ( 상고할 고 ) 丂 ( 숨내쉴 교,공교할 교 ) 모두
늙은이와 지팡이,입기운을 표현하였다. 兮 ( 어조사 혜 ) 역시 입기운을
표현 하였다.
工 ( 장인공 ) - 巧 ( 공교할 교 )
藜 ( 명아주 려 ) 왕이 벼슬에서 물러나는 정승들에게 선물한 지팡이인
靑藜杖 ( 지팡이 장 ) 이 공교로움을 의미 하는 뜻
号 ( 부르짖을 호 ) - 號 ( 부를 호, 부르짖을 호 )
乎 ( 어조사 호 ) 의 원 뜻은 숨내쉴 호 이며
兮 ( 어조사 혜 ) 의 원뜻은 입기운 혜 이다.
羲 ( 숨 희 , 사람이름 희 ) - 蜀 ( 벌레촉, 나라이름 촉 )
犧 ( 희생 희 )
我 ( 나 아 )
唯 ( 오직 유, 대답할 유 ) : 口 ( 입구 ) + 隹 ( 새 추 )
錐 ( 송곳 추 )
推 ( 밀 추 )
誰 ( 누구 수 )
維 ( 벼리 유, 바 유 ) - 그물울 오무렸다 폈다 하는 굵은 줄을 벼리라고 한다.
惟 ( 생각할 유 )
而 ( 말이을 이 ) - 접속사 ( 순접, 역접 ) 로써 그리고 뜻이 있다.
趨 ( 달릴 추,나아갈 추 ) : 走 ( 달아날 주 , 달릴 주 ) + 芻 ( 꼴 추 )
芻 : 勹 (쌀 포 : 손으로 싹을 한웅쿰 쥔 모양 - 꼴 베는 형상 표현 ) +
屮 ( 싹날 철,풀초 )
反 (돌이킬 반 ) 芻 (꼴 추 ) 는 되새김질을 말하며 소와 관련되어 쓰이고
角 (뿔각) 者(놈자)無(없을무)齒(이치) 는 뿔은 있으나 이가 없다는 뜻으로
소가 윗니가 없음을 말한다.
소의 위가 4개가 있는데 1 과 2는 양 3은 千 葉 (처녑) 4는 막창 라고 함
요즘 말이 진화 되어 크지만 예전에는 개 크기만 했다고 한다.
雛 ( 병아리 추 ) - 鳳 (봉황새봉 )雛 : 봉황의 새끼라는 뜻으로 지략이 뛰어난
젊은이를 비유 한 말
之 ( 갈 지 ) ; 동사 + 之 = 앞의 동사를 강조 한다.
父 ( 아비 부 )
母 ( 어미 모 )
之 ( 갈 지 )
命 ( 목숨 명 명령할 명 ) : 집의 지붕 밑에서 몸이 서 있거나 구부려 명을 받고 있는
사람을 표현한 글자. = 令 ( 명령할 령 ,하여금 령 )
領 ( 거느릴 령 , 목 령 , 옷깃 령 )
嶺 ( 재 령 , 고개 령 )
分水嶺 : 산에 비가 와서 모인 물이 두 줄기로 갈라져 흐르기 시작하는
산마루나 산맥
대관령, 한계령, 미시령,추풍령,죽령,조령( 문경새제)
零 ( 떨어질 령 )
靈 ( 신령령, 영묘할 령 )
鈴 ( 방울 령 ) - 鐸 ( 방울 탁, 목탁탁 )
시주스님이 종을 울리는것을 動鈴이 동냥으로 바뀜
冷 ( 찰 냉 ) - 凍 ( 얼 동 )
勿 ( 말 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