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수를 알면 한자가 보인다(초급)

山(뫼산) ~ 己(몸기) 2009.6.4.화.맑음

최흔용 2009. 6. 5. 20:25

○  山 (뫼산)  : 뫼=산을 뜻하는 옛말(고어)을 그대로 사용하는 글자

         (메산)   메 =말을 하는데 발음을 부드럽게 하는 습성이 있어 뫼를 메로 변화시킨말로 전설모음화라

                          한다.

                     메(산)아리(울린다), 두메산골, 메(산)돼지= 멧돼지

           龍을 용용이라고 하지만 용의 고어는 미르여서 미르용이라고 했고 미르는 미리와 관련 미리내인

           미리(은하)내(수)로 물과 관련 되어 있다

           天(하늘천)水(물수)畓(논답)에 천수는 용을 가르킨다.물에서 승천= 하늘로 올라간다고 생각했기때

           문이다.

           조선시대 4대 명필중 한사람인 양사언의 시조인

                         태산이 높다하되 하늘아래 뫼이로다.

                         오르고 또 오르면 못 오르리 없건마는

                         사람은 제 아니 오르고 뫼만 높다 하더라.

              이 시조에 왜 泰(클태)山(뫼산) =중국의산이라고 했을까?

            태산의 높이는 1535m 이고 백두산의 높이는 2744m 한라산은 1950m 지리산은 1915m

            에베레스트는 8848m이다 영국의 지질학자인 에버리스트가 최초로 높이를 측정했다고 그의 이름

            을 붙인 것이고 티벳 현지인들은 초모룽마(세계의 어머니 여신)라고 부른다고 한다.

   

           태산은 山東과 관련된 산으로 5岳 가운데 東岳(큰산악)이다. 태산은 평야지대에 솟은 산으로 평야에

           사람이 살고 백두산에는 1000m되는 곳에서도 사람이 살았는데 1000m에서 보는 산 높이보다 평지에

           서 보는 태산이 더 높아 보였기 때문에 태산을 썼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백두산에서 지리산 까지 이어진 물이 없는 산줄기를 백두대간이라고 한다  이것을 기준으

           로 동쪽과 서쪽으로 나눴는데 서쪽은 평야지대가 곡창地(땅지)帶(띠대)로 일제강점기때 쌀을 약탈하

           기위해 도로를 만들었다 .

           가로는 짝수 세로는 홀수로 도로의 번호를 기준으로 했다.

           한국은 동고서저 이고 중국은 서고동저로 지형이 되어 있다.

           양자강과 황하강 동쪽에 있는 나라가 우리나라다.

                      *음의 역활

     仙(신선선) : 산에 살면서 도를 닦는 사람

     岳(큰산악) : 丘 (언덕구)

     島(섬도): 산 위에 새(갈매기)가 앉아 있는 산

           제주- 삼다도 : 바람, 돌, 여자 (아가씨)

                    삼무도 : 도둑, 문, 거지

     嶼(섬서) : 작은섬 즉 이름없는 섬에 쓰이는 글자

                  山(뫼산)間(사이간)島(섬도)嶼(섬서)

     洲 (섬주) = 대륙 : 滿(찰만)洲(섬주),沿(물따라내려갈연)海(바다해)洲(섬주), 아시아洲(섬주)

 

○  (개미허리) : 214개 부수자 가운데 음이 없는 유일한 글자(정식 이름이 없다.)

                    물이 흐르는 모양에서 나왔다.

                    蛇(뱀사)行(다닐행)川(내천) : 뱀이 기어가는 모양처럼 구불구불 기어가는 하천

                   개미허리를 닮았다 햐여 개미허리로 불린다.

                   변형된 글자로 川 (내천) 이 있다.

            開(열개)川(내천),  淸(맑을청)溪(시내계)川(내천),  川(내천)獵(사냥할렵):냇물에서 고기잡이 하는일

            晝(낮주)夜(밤야)長(긴장)川(내천):낮밤으로 쉬지않고 흐르는 시냇물과 같이 늘 잇따름.

            名(이름명)山(뫼산)大(큰대)川(내천):이름난 큰산과 큰내

            天(하늘천)井(우물정)川(내천):흙이 쌓이면 물이 넘치므로 방축(방죽)을 쌓고 또 물이 흐르며 토사가

                   쌓이면  또 방축을 쌓아 사람이 사는 지대보다 더 높은 곳에서 물이 흐른다는 뜻

        順 (따를순,순할순): 천>전>선 을 음변화

               - 順(따를순)序(차례서), 順(순할순)正(바를정):도리에 어긋 나지않고 바름.

        巡(돌순,순행할순) - 巡 靖(편안할정,꾀할정):두루돌아다니며 인심을 살피고 편안히함.

                  (책받침)은 길과 관련 돌아다닌다는 뜻

                  巡(돌순)警(경계할경), 巡察(샇필찰), 巡使(부릴사),巡邏(돌라)잡기=술레잡기=순라처럼 돌면서

                                                       도둑을 잡는다는뜻.

       馴(길들일순) - 馴(길들일순)鹿(사슴록):길들인 사슴

                            馴(길들일순)治(다스릴치):길들여서 다스린다는 뜻으로 군사정권 시대에 3S 스포츠(프로

                            야구), 스크린(영화산업) 성문화를 활성화 반대세력이었던 국민을 순치시킨것들이다.

       訓(가르칠훈) :訓(가르칠훈)練(익힐련), 訓 長(긴장), 家(집가)訓(가르칠훈),敎(가르칠교)訓, 級(차례급)

                          訓, 訓 民 正(바를정) 音(소리음),訓 手(손수),訓 放(놓을방).

       州(고을주) :물이 흐르면서 토사가 쌓여 사람이 들어가 농사짓고 사는땅을 뜻한다.

                      汝(너여)矣(어조사의)島(섬도)=너의섬 에 6.25때 비행장을 만들기위해 輪(바퀴륜)中(가운데

                      중)堤(둑제)=뚝을 쌓음

               서울, 경기도=농사를 짓기 위해 임금이 관할하던땅

               강원도 = 강릉 + 원주

               경상도 = 경주 + 상주

               전라도 = 전주 + 나주

               황해도 = 황주 + 해주

               평안도 = 평양 + 안주

               함경도 = 함흥 + 경원

      洲 (섬주) : 五 大 洋(큰바다양) 

                    太(클태)平(평평할평)洋, 印(도장인)度(법도도)洋, 大西洋(대서양), 북빙양, 남빙양

                    六 大 洲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오세아니아,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우랄산맥,카스피를 기준으로 아시아와 유럽으로 나누고 터어키를 중심으로 동쪽을 동양이라고 부른다.

 

○  工 (장인공): 물건을 오랜기간을 거쳐 만들어 내는 숙련된 사람을 표현한 글자로 도구와 관련되어 쓰이고

                      도구로는 도끼, 곡자, 절구공(흙을 이길때 쓰는 도구)이 있다.

                      손에 도구(돌도끼)를 들고 있는 형상 = 父 (아비부)

              工 夫(지아비부) = 오늘날 원리를 배워서 직장에 가지만 옛날에는 먹고 살기위해 직접 공장에 가서

                       배움을 뜻하는 글자.

              學(배울학)業(업업) = 일을 해서 배운다는 뜻

                       한나절(12시간) + 한나절 = 하루 이고 반나절은 6시간을 말한다.

              * 음의 역활

        功 (공공, 일공) : 힘써서 일하는것  - 成(이룰성)功 , 全(온전할전)功  = 모든 공로 有(있을유)功者.

        攻 (칠공) : 회초리를 든 형상

        貢(바칠공) : 패물을 바치는 형상  - 朝(아침조)貢, 貢納(들일납).

        恐(두려울공): 凡(무릇범)은 돛의 형상에서 나온 글자로 帆(돛단배범)자를 보면 알수있다.

                           돛단배는 돛을 다는것을 말하고 돛대는 돛을 배에 꽂은것을 말한다.

                           그래서 凡을 쓰면 안되고 (굳으공,끌어않을공:사람이 손에 무었을 잡고 있는 형상)

                           을 써야한다.

                           모닝글로리는 나팔꽃을 말하는데 아침에 펴서 해뜨면 지기때문이다.

         鞏(묶을공)

         空(빌공, 하늘공) : 穴(구멍혈)

         控 (당길공) :손을 뜻하면서 손해보는것을 말한다.

         腔(빈속강) :月(육달월)이 인체 한부위를 말하면서 코와 입속이 비어있음을 뜻하는데 충격을 받았을때

                          뇌를 보호하기위해 비어있다고 한다.

                         腔(빈속강)腸(창자장)動(움직일동)物(만물물) = 속이 텅 비어있는것 -  산호

                         原(근원원)生(날생)生物 = 단세포생물의 총칭 - 아메바

                         節(마디절)肢(사지지)動物 = 마디가 있는 동물 - 곤충, 갑각류.

                         扁(작을편)形(형상형)動物 = 몸이 납작한 동물 - 곤충, 디스토마

                         環(고리환)形(형상형)動物 = 원통골로 길쭉하고 고리마디가 있는 동물 - 지렁이 겟지렁이

          江(강이름강) = 강이름은 고유명사이고 강강의 강은 일반명사,보통명사이다.

                        원래 양자강을 뜻하는 글자이다.강남은 양자강 남쪽을 말하는 것이다.

               中 華民國 에서 華(빛날화)는 꽃화라는 뜻을 가지고 있었으나 그 의미가 산화되어 花(꽃화=박이 무

                        성하게난 넝쿨덩이를 뜻함)로 바뀌었다.

                        중화민국은 세상의 중심이 된다는 뜻이다.

                        화북,화남,화중은 황하강과 양자강을 기준으로 나온 말이다.

                        동서교류가 있기전에는 양자강을 세상에서 제일 긴강으로 생각했다 양자강의 길이가 약

                        6400m이라서 장강이라고 불렀다.

                        삼천리금수강산의 삼천리는 10리가 4km , 100리가 40km, 1000리가 400km, 약1200km가 삼

                        천리이니까 양자강의 길이가 우리나라 5배에 해당되니 얼마나 긴강임을 알수있다.

                        그래서  북경오리 한쌍을 데리고 양자강 초입부터 타고 끝까지 내려 오면 오리한쌍이 무더

                        기가 된다는 말이 있다.

                        세계제일 긴강은 나일강 으로 6.75Km 이고 그다음이 아마존강(6400km)과 양자강이다.

                        원래 양자라는 일부 지명이었으나 외국인이 중국에 가서 지도를 만들기위해 그지역에 가서

                        주민에게 강이름을 묻자 잘못알아들은 주민이 양자라고 해서 이름붙여진것이다.

                        서울은 사방폭이 40km가 안돼지만 양자강은 폭이 90km정도여서 강북과 강남의 기후차가

                         심하다고 한다 .그래서 남귤 북집(탱자)라는 말이 있다고 한다.

                        제비가 강남(양자강)으로 가는데 우리나라 제비는 월남(베트남)으로 간다고 하는데 월나라

                        (오월동주)밑에 있던 나라가 베트남이다.

                        황하 역시 황하만을 뜻한다고 한다. = 白 年 河(강이름하 = 황하)靑(푸를청)

          鴻(큰 기러기홍) -鴻(큰기러기홍)漸(점점점)之(갈지)翼(날개익)=점점 높이 날아 하늘위까지 날수있는

                                  큰기러기의 날개 라는 뜻으로 점점 직위가 높아가는 모습을 뜻한다.

                                - 鴻 鵠(고니곡)之志(뜻지) = 큰기러기와 고니를 뜻하며 원대한 포부를 뜻한다.

          紅(붉을홍) : 색을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못하기때문에 실로짠 옷감에 물들일때 색을 볼수 있어서 색을

                          나타낼때 사 (가는실멱) 자를 쓴다 . 絲(실사)자가 있다.

                         색과 관련된 글자로 綠(푸를록), 紺(감색감), 素(힐소)가 있다.

                         경국대전에 붉은색옷은 당산관 (차관급)들만 입었는데 이유는 稀(드물희)貴(귀할기)-드물

                         었기 때문에 귀한색이었고 붉은색 물들이기가 힘들었다고 한다.

                         淸(맑을청)出(날출)於(어조사어)藍(쪽람,볼감) = 쪽은 푸른물로 綠(푸를록)이 되려면 20번

                         을 물들여야 푸른색이 나온다고 한다.

                         민간인은 결혼전후에만 大(큰대)紅(붉을홍)=다홍색을 입을수 있었고 이왕이면 다홍치마는

                         새색시를 뜻한다.

          訌(무너질홍)

          項(목덜미항) : 猫(고양이묘)項(목항)懸(매달현)鈴(방울령)=고양이 목에 방울달기

          缸(항아리항) :  附(붙을부)缸(항아리항)

          肛(똥구멍항) : 항문을 뜻한다

                             學(배울학)問(물을문) 과 항문의 공통점 은 힘쓴다,넓힌다,닦는다.^^

          虹(무지개홍) : 虹(무지개홍)霓(무지개예)門(문문)은 청계천에 있는 수문으로 무지개처럼 반원형으로

                             생긴문을 말한다.이처럼 생긴문이 전쟁을 격으면서도  무너지지 않은 것은  지진같은 진

                             동이나 흔들림엔 오히려 아구가 잘 맞는다고 한다 이것이 선조의 지혜일것이다.

 

○ 己(몸기,다스릴기) 다스린다는 뜻도 있다.

                             사람몸을 굽혔다는 형상으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紀(벼리기,다스릴기)를 보듯 실과 관련

                             됐다고 보는 견해가 옳다고 본다.씨실과 날실 사이에 위아래 구별하기 위해 속대를 꽂아

                             날실을 다스린다는 뜻으로 쓰여 사람도 다스린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忌(꺼릴기) : 禁(금할금)忌(꺼릴기), 忌避(피할피)

                           침략전쟁은 한나라가 한나라를 쳐들어간 전쟁을 말하며

                           통일전쟁은 북한에서 남한으로 쳐들어오는 전쟁을 말한다.

                           停 (머무를정)戰(싸울전) :싸움이 끝남

                           休(쉴휴)戰(싸움전) : 전쟁을 쉬고 있는것

           起(일어날기) - 生 覺(깨달을각) = 초목에 싹이 움터남을 말한다.생각의 씨를 뿌리자.

           記(기록할기) - 석별의 정은 학교에 남아있는 사람(선생님)과 하는것이다.

           改(고칠개) - 손에 채찍을 든것을 표현한 글자.(改:고칠개革:가죽혁)(改 組(짤조)

           妃(왕비비) - 楊(버들양)貴(귀할귀)妃(왕비비)

           配(짝배)

           酒(술주) = 술이 귀했기 때문에 신분이 높은 손님에게 대접했는데 술에 해가 없음을 보이기위해 주인

                          이 먼저 마셨고 주인과 손님이 서로 술잔을 주고 받는것을 酬(갚을수)酌(따를작)이라고

                          한다.

                          天 生 연분은 천상에서 나온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