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의이해

[스크랩] 김홍도

최흔용 2010. 4. 5. 10:31

 

 

단원 김홍도(檀園金弘道)

단원 김홍도(檀園 金弘道 1745~1806)는 그 고유색 짙은 조선 독자 문화가 절정에 이르렀을 때 탄생하여 문화의 최후를 장식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던 화가이다.

그의 5대조는 守門將을 지냈고 고조부는 종6품의 벼슬 ,증조부가 종4품의 萬戶를 지낸 중인 가문의 출신이다.타고난 그림 재주로 말미암아 圖畵署 畵員이 되었던 인물이다. 그는 7~8세 되던 해에 그의 천재성이 인정되어 사대부 화가 강세황(姜世晃)에게 인정받아 그의 훈도 아래 詩文書畵를 익혔기 때문에 성리학적 소양을 어느 정도 몸에 지닐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조선성리학을 사상 기반으로 하고 있던 진경시대 문화를 본질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던 듯 하다. 단원은 그림 재주를 하늘로부터 타고난 것이었기에 모든 화과(畵科)의 그림에 능하지 않는 것이 없었다.

산수, 인물, 화조, 사군자, 누각 등을 다 잘하는데 특히 당시 생활상을 그려내는 풍속인물화에 뛰어난 솜씨를 보이었고 신선과 고승을 그리는 도석(道釋)화는 누구도 따라 올 수 없는 경지였다 한다. 그의 그림들을 자세히 보면 어느 화과의 그림이거나 간에 모든 그림에 조선 고유의 색을 짙게 드러난다는 공통성이 있다.

산수화는 왕명을 받들어 금강산과 동해안 명승지를 그렸다는 해산첩(海山帖)에서 볼 수 있듯이 겸재의 사생기법으로부터 연유한 서릿발 준법으로 바위산을 표현하되, 현재나 표암 강세황이 명대 남종화 기법을 수용해 들이면서 그 영향으로 변형시킨 부드러운 붓만을 가미하여 굳세고 씩씩하던 겸재의 붓질과는 다른 느낌이 든다. 이런 온건한 필법은 아마 말기 문화가 공통적으로 나타내는 세련미라고 보아야 할지도 모르겠다. 그렇기 때문에 진경시대 후기를 대표하는 화가로 단원이 지목되었을 수도 있다.

 

 

단원 김홍도

 


 

제목 : 군선도(群仙圖)

언제 : 18세기 말

재료 : 족자 종이에 담채

규격 : 53 x 28 cm

소장 : 호암미술관


해설 : 김홍도는 풍채와 태도가 아름답고 성미는 너그럽고 선선하여.

자질구레한 일에 구애되지 않아서 신선과 같은 인물” 이라고 조희룡(趙熙龍)이

 편찬한 호산외기(壺山外記)의, 김홍도전(金弘道傳)에 언급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술(記述)은. 그가 신선도를 즐겨 그린 것과 견줄 때. 재미있는 사실이 아닐수 없다.

그는 산수. 영모. 도석인물. 풍속에 이르기 까지. 다방면에 걸쳐 수작을 다수 남기고 있다.

만 31세인 1776년에 그린 군선도는. 대작이면서 대표적인 도석인물 병풍에 드는 그림이다.

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譜)를 살펴보면 그책에 게재키 위해 사진을 찍었던 1930년대까지만 해도

하부에 성근 필치로 그린 풀이 보이나 현재는 그 부분이 잘려나갔고 각 폭의 세로 모서리들도

조금씩 잘려 그림 폭 사이의 연결이 다소 어긋나 있다. 이 일연의 8폭 군선도는 별도의 배경없이.

크게 세 무더기로 나뉘는 신선들에 의해. 그들의 표정 및 자세만으로도 전혀 어색함이 없는 화면구성을 보여준다.

이 점은 소폭의 풍속화첩에서도 살필수 있다.

김홍도의 전래작들은 도석인물화에 있어서 병풍. 족자. 편화에 이르기까지

많은 유전작(遺傳作)을 살필 수 있는데. 이들도 풍속화에서처럼 배경을 함께 나타낸 것과

배경없이 신선만을 그린 두 가지로 구분된다. 배경이 있는 대폭으로는 6폭과 8폭으로 된

서원아집병(西園雅集屛)이 대표적이며. 또한 10폭 또는 8폭으로 된 고사(故事)를 소재로 한 고사인물화들이 있다.

또한 매폭마다 2 ~ 3명의 신선을 그려 전체가 한 화면으로서의 연결을 의도한 것은 아닐지라도

8폭의 연폭으로 그린 것들도 전래되고 있다.

군선도에 등장한 인물들은 선동을 포함해 19명에 이르며. 나귀. 일각우(一角牛). 다람쥐. 박쥐 등 동물도 보인다.

이 군선도는 속도감이 느껴지는. 대담한 오대당풍(吳帶當風) 의 묵선과. 가늘고 고른 선들을 혼용하고 있다.

 동적인 의습선(衣褶線)은 바람에 나부끼는 듯하고. 이와함께 신선들의 자세 또한, 정지상태가 아닌 동적이어서.

화면엔 생동감이 넘친다. 감필의 묘가 발휘된 선묘 위주이나. 부분적으로 보이는 청홍담채의 설채는.

화면에 유현한 분위기를 주며. 특히 얼굴의 설채는 분명히 명암이 고려된 가채(加彩)로.

들어간 부분과 튀어난 부분의 구별이 분명히 나타나 있어 주목된다. 구도와 필력에 있어 소장시절에

그가 도달한 틀잡힌 격조를 알려주는 군선도는 발군의 기량을 과시하는 걸작이다.

이 그림은 현재는 나눠서 족자로 꾸며져 있다.

왼쪽 하단에 병인춘사(丙寅春寫)의 간기(干紀)와 30대에 주로 사용한 호 사능(士能)의 관서(款署)가 있으며.

이어서 백문방인(白文方印) 김홍도인(金弘道印) 과 주문방인 사능(士能)이 세로로 나란히 있다.

 

 


제목 : 선인송하취생(仙人松下吹笙)

언제 : 18세기 말

재료 : 족자 종이에 담채

규격 : 109 x 54.5 cm

소장 : 고려대학교 박물관


해설 : 김홍도 도석(道釋)인물은 전혀 배경을 그리지 않고 인물들만 크게 부각시켜.

그들의 표정 및 동작이나 자세만으로. 화면구성을 꾀한 것과. 배경 속에 점경(點景)으로

인물을 담는 두 가지로 크게 나뉘어지는데, 대체로 전자가 앞선것으로 본다.

배경이 있는 경우도 서원아집병(西園雅集屛)과 같이 정교하고 섬세하여.

그야말로 화본풍(畵本風)으로 나타내는 경우와. 전혀 이런 분위기와 는 거리가 먼

평범한 장면으로, 나타내는 경우가 있는데. 대체로 섬세한 쪽이 먼저 그린 것이 된다.

노송만을 화면 중앙에 수직으로 포치시킨, 선인송하취생은 장식성이 전혀 배제된 소탈함과.

번거롭지 않는 담담한 운치를 보여준다.

 이와 같이 수직으로 소나무를 그린 예는, 김홍도 보다 한세대 앞선

18세기 전반의. 대표적인 문인화가로 손꼽히는. 이인상(李麟祥)에게서 찾아볼수 있어,

공통점이 보이는 석법(石法)과 더불어. 그의 영향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김홍도가 즐겨 그린 상하로 뻗은 노송은 갈필선묘(渴筆線描)로 때로는 노송의 위아래가

화면 밖으로 벗어나 중간만 나타내기도 한다. 노송의 굵은 수직 줄기로 인해 나타난

화면공간엔 폭포를 곁들이거나 학이나 사슴이 신선대신 등장되기도 한다.

소나무와 관계있는 신선으로는 소를 탄 노자(老子)의 배경에 노송이 나타나기도 하며.

노송에 기댄 적송자(赤松子)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소나무와는 별개로 생황(笙簧)을 잘 부는 신선으로 옥자진(玉磁晉)이 있다. 선인송하취생은

신선보다 오히려 노송이 큰 비중을 화면을 점하고 있는데. 솔잎은 성글고 늙은 줄기의 거친 표현은,

신선과 함께 상징적 의미를 부여한 듯도 하다. 차분한 자세로 앉아 생황을 부는 신선은,

사뭇 유연(悠然)한 정취이며. 의습선은 가늘고 고른 필선으로. 율동감 있는 송린(松鱗)과 는 대조적이다.

오른쪽 상단에 회화적인 아름다움까지 보이는 제발(題跋)은 “생황의 외형은 봉황이 날개짓 한는 것 같고.

불 때 들리는 소리는 용의 울음소리보다 처절하다”. 는 내용이다.



 

 

제목 : 마상청앵(馬上聽鶯)

언제 : 18세기 말

재료 : 족자 종이에 담채

규격 : 117.4 x 52 cm

소장 : 간송미술관


해설 :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는 겸재(謙齋) 정선(鄭敾)과 관아재(觀我齋) 조영석(趙榮祏)의

동국진경풍속화(東國眞景風俗畵)를 계승하여 이를 기교적으로 변모시켰던 화원화가이다.

풍채가 아름답고 성격이 호방 활달하여. 당시 사람들이 신선중의 사람으로 보았다는. 이야기가 있을정도로

수려한 미남자 였던 보양인데. 그래서인지 이 그림속의 말 탄 양반이나. 구종하인이 모두 늘씬한 몸매로 그려져 있다.

 심지어 앞발을 모아세우고 다소곳이 서 있는 적황색 말과. 노변의 버드나무까지도 호리호리한 미태(美態)를 발산하고 있다.

그림속의 인물이 항용 그린 사람을 닮게 마련인 것을 생각하면. 말 탄 사람은 바로 김홍도 자신이라고 하여도 좋을 듯 하다.

아지랑이 피어오르는 나른한 늦은 봄날. 복건에 갓 쓰고 도포는 술띠를 늘여 차려입은. 멋장이 양반이 한 손에 쥘부채 들고.

한손에는 고삐를 잡은채. 길가 버드나무 아래 위에서 화답하는. 노란 봄 꾀꼬리 한 쌍의 흐드러진 교성에.

가는길도 잊은 듯 넋을 잃고 멈춰 서 있다. 모춘여정(暮春旅情)의 시취(詩趣)가 뿌듯이 느껴지는 분위기 이다.

공백을 한껏 강조한 시정(詩情) 넘치는 일각(一角) 구도뿐만 아니라.

적황색 말과 푸릇푸릇한 연초록의 봄버들잎. 등황빛 꾀꼬리의 색조는,

노변과 버드나무 둥치에 찍어낸 청묵빛과, 묘하게 대조를 이루며 어우러져서, 춘정을 한층 자극하고 있다.



 

 

 

제목 : 무이귀도(武夷歸圖)

언제 : 18세기 말

재료 : 족자 종이에 담채

규격 : 112.5 x 52.6 cm

소장 : 간송미술관


해설 : 무이산(武夷山)은 지금 대만의 대안(對岸)에 해당하는. 복건성건녕부(福建省建寧府)에 있는

길이 120리의 명산이다. 36봉과 37암 그리고 그 사이를 흘러내리는 건계(建溪)가 어우러지며,

선경을 빚어내어 한무제(漢武帝) 때부터. 무이군(武夷君) 이라는 신선이 살았다 하고.

가깝게는 松代의 신선 옥섬(玉蟾) 갈장경(葛長庚)이. 이 산속에 숨어 살았다고도 하는. 신비한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다.

 빼어난 경치로 인해, 수많은 탐승객이 이곳을 찾아 절경을 읊었으나, 중국 십철(十哲) 중의 한 사람이자.

주자(朱子) 성리학의 개조로서 추앙받는, 남송(南宋)의 주희(朱熹)가 노래한, 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만큼

무이산구곡(武夷山九曲)을 유명하게 한 것은 없다.

 이후 건계가 36봉 37암을 감아 흘러내리며 빚어낸 아홉 굽이는 화가들에 의해 즐겨 그려지게 되었는데

주자성리학을 국시로 하여 중국보다 더욱 성리학적 학문체계를 발전시켰던 조선에서도

 주자의 무이구곡가는 중요한 소재로서 일찍부터 그려졌었다.

김홍도의 이 그림이 구곡중에서 어디를 그렸는지 언뜻 알기 어렵지만.

하엽준(荷葉皴)으로 처리된 기암준봉과. 그 사이를 굽이쳐 내려오는

탕탕한 계류를 타고 치닫는 선유(船遊)는 실로 호방장쾌 하여.

무이구곡 전체가 이 한폭에 모두 담겨진 것 같으니. 굳이 어느 굽이의 경치인지를 따질 필요가 없을 듯 하다.

뜸집배 안에 상반신을 드러낸 채 절경을 승람하는 인물로 그려진. 주희의 단아한 모습과는

 대조적으로. 사공들이 행색은 분명 조선 사람의 그것이어서, 당시 풍미하던 조선중화(中華)사상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제목 : 사인암도(舍人巖圖)

언제 : 18세기 말

재료 : 화첩 종이에 담채

규격 : 26.6 x 31.4 cm

소장 : 호암미술관


해설 : 단원의 병진년화첩(丙辰年畵帖) 속에 들어 있는 산수 10폭 중에는 실경산수가 몇폭 있는데. 그중에는 도담삼봉(島潭三峯). 사인암(舍人巖). 옥순봉(玉荀峯) 등 단양(丹陽)의 절경을 그린 것이 있다. 병진년(1796년) 무렵의 단원 산수는 실경에 입각했으면서도. 실경을 넘어서 회화적인 재구성으로 관념산수(觀念山水)의 경지를 전개하였기 때문에, 이 사인암도도 실경과는 사뭇 거리가 있지만, 우람하고 장대한 병풍 같은 절벽바위의 위용을 한껏 강조하고 있다. 암준(岩皴)은 종횡으로 그은 선으로 바위 주름을 나타내고. 여기에 농담을 자유자재로 구사하여. 전후와 요철을 드러내고 또한 농담이 있는 태미점(笞米點)으로 운치를 더하고 있다.

화면 아래쪽 강면의 돌무더기와 수목들. 그리고 사인암 꼭대기의 수목 등도. 단원 산수에 나오는 정형으로. 농담을 구사하여 전후를 나타내고 있으며. 소나무 표현역시 예리하고 농묵과 담묵으로 잔가지 와 잎을 나타내어. 단원소나무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제목 : 한계조수도(閑溪釣叟圖)

언제 : 18세기 말

재료 : 화첩 종이에 담채

규격 : 26.6 x 31.4 cm

소장 : 호암미술관


해설 : 화면 좌편 위쪽에 치우쳐 담묵으로 묘사된 절벽이. 가운데를 향해 원만한 곳선을 이루면서 물속에 바위들이 듬성듬성 보이는 냇가로 다가와 멈춘다.

시냇물은 전경에서 왼편으로 비스듬히 대각선을 이루는데. 이쪽 언덕 물가에 삿갓을 쓴 이와. 맨상투의 남자가 각각 낚싯대를 드리우고. 말을 주고 받는다.

절벽 중앙에는 발묵 기법으로 암층의 일부가 크게 돌출하게 처리하면서. 역시 냇가로 흐르듯 내려오는데, 돌 사이에 뿌리 박은 나무들이. 위아래로 기둥과 가지를 뻗으면서. 덩굴을 몇줄 드리우고 있다.

거의 밋밋한 절벽 자체에 비해. 아랫자락은 해삭준(解索皴)이 밀집되면서 농도를 더해 표현되고. 나뭇잎 등 여기저기에는 황갈색 담채를 썼다. 화폭 오른쪽 위의 절벽과 대칭이 되는 공간은. 자욱한 안개 속에 무한히 비어 있을 뿐이다.



 


제목 : 매작도(梅鵲圖)

언제 : 18세기 말

재료 : 화첩 종이에 담채

규격 : 26.6 x 31.4 cm

소장 : 호암미술관


해설 : 단원의 병진년 화첩(丙辰年畵帖)에 들어있는 화조 10폭 중의 하나인 이 매작도는.

단원 특유의 수목에 본홍꽃을 곁들인. 그 예가 드문 춘경의 화조화 이다.

밑둥이 굵고 굴절한 매화나무가. 왼쪽으로 가지가 많이 뻗었는데. 그 오른쪽으로는 대나무 몇그루가 비껴 있어서. 화면에 안정감을 주고 있다. 굴절 하였다가 위로 뻗은 매화 줄기는.

그 윗부분에 이르러 다시 오른쪽으로 크게 휘어가다가. 거기에서 잔가지가 오른쪽과 위로 뻗어서. 좌측상단으로는 넓은 여백을 설정하고 있다.

매화나무는 왼쪽 아래에서 오른쪽 위로 향하는 비스듬한 포치이고. 주제인 까치는 매화나무 윗 등걸에 세 마리가. 절묘한 포치로 앉아서 왼쪽 위의 시원한 공간을 바라보고 있는데.

한 마리가 벌써 그 공간을 날고 있어서. 균형이 잘 잡혀 있는 명품이다.

전경의 배경은 은은한 담묵으로 부드럽게 처리한 반면에. 상단은 여백으로 처리하여. 무한한 공간감을 자아내는데.

거기에 매화꽃의 설채가 아주 선결하다.



 


제목 : 기우도강도(騎牛渡江圖)

언제 : 18세기 말

재료 : 화첩 종이에 담채

규격 : 26.6 x 31.4 cm

소장 : 호암미술관


해설 : 화폭 전면이 가없는 잔잔한 강물인데. 가운데 큰 버드나무 한 그루가 물속에 잠기듯. 늙은 둥치를 드러내고, 오른편으로 누웠다가는 윗부분이 솟아오르고 있다.

이 나무 앞쪽에 세 그루의 작은 버드나무들이. 큰 버드나무 둥치와 거의 직각으로 교차하면서 자리를 잡는다. 그 뒤 물속을 한 목동이 소 등에 타고 왼편으로 유유히 강을 건너면서. 물에서 이제 막 날아가는 청둥오리 세 마리를 돌아다본다.

 작은 버들과 큰 버드나무 둥치 사이 수면에. 아직 두 마리의 물오리가 헤엄치고. 전경에는 초록과 농묵으로. 아주 짧은 연속선과 점들을 찍어. 한 무더기의 수초(水草)를 잘 표현하고 있다.

나무들의 윤곽과 잔가지들 모두 농묵으로 거침없는 속필로 묘사해 가고. 버들잎들은 역시 황록으로 촘촘히 찍었다. 사람. 소. 물오리는 붓끝 세선을 썼으되, 비교적 빠르고도 간소한 선묘이고. 담청을 먹과 섞었거나 황갈색을 인물과 동물에 담채했다.



 


제목 : 기우부신(騎牛負薪)

언제 : 18세기 말

재료 : 화첩 비단에 담채

규격 : 25.5 x 35.7 cm

소장 : 간송미술관


해설 : 檀園 金弘道는 玄齋 沈師正과 뜻을 같이하던 사대부 화가 표암(豹菴) 姜世晃의 문하에서 화도를 배워 화원으로 출사(出仕)한 화가였다. 강세황은 단원을 조선회화사상 제일의 인물로 높이 평가하고 있었는데, 특히 그의 풍속화 솜씨를 일컬어서는, “더욱 우리 동쪽나라 인물풍속을 잘하여, 선비가 공부하는 것이나, 장사치가 시장으로 치닫는 것. 규중의 여인. 농사꾼. 누에치는 여인 및 가옥의 규모와 산과 들 같은데 이르러서는.

물태형용(物態形容)을 곡진히 하여 어그러짐이 없었으니. 이는 곧 옛날에는 일찍이 없었던 것이다” 라고 극찬할 정도였다.

현존하는 그의 그림이 풍속화보다 산수화가 더 많지만. 풍속화가로서 더 유명한 것도 예나 다를바 없다 하겠다. 봄기운이 무르녹아 아지랑이가 원근 산야에 가득 피어오르면 하루해는 한없이 길고 심신은 나른하기만 하다.

그래도 그 긴긴 해를 양지쪽에서 졸고만 보낼 수 없어 나무 한짐을 해 지고 풀 뜯기던 소 등에 올라타고 돌아오다 보니, 어살(漁蔱)을 매놓은 시냇가에는, 아직도 오리들이 떼지어 놀고있다. 우리 시골 어느 곳에서나 얼마 전까지 보아오던 흔한 장면이다.

나무를 소등에 싣지 않고 스스로 지고 타던 것이, 우리네 양심이었고 고통을 함께 하는 겸허한 자세였다.



 


제목 : 낭구도(浪鷗圖)

언제 : 18세기 말

재료 : 화첩 종이에 수묵담채

규격 : 39.1 x 49.3 cm

소장 : 간송미술관


해설 : 김홍도는 파도에 매력을 느꼈던 모양으로, 파도를 주제로 한 비슷한 작품이 몇점 전해지고 있다.

그 가운데서도 이 <낭구도>는 매우 뛰어난 작품으로. 왼편의 암초에 내려 앉아 있는 바닷새의 무리에. 흰 분채(粉彩)를 입혔을 뿐. 어느 것이나 묵색이 그대로 드러나 보이는, 맑은 담청색으로 선염하고 있다.

단순한 주제이지만 단원(檀園) 김홍도의 대가로서의 관록을 유감없이 발휘한 작품이다.



 


제목 : 만월대계회도(滿月臺契會圖)

언제 : 18세기 말

재료 : 족자 비단에 수묵담채

규격 : 147.2 x 63.3 cm

소장 : 한국개인


해설 : 개성 송악산(松岳山) 기슭에 있는 고려 왕궁 옛터인 만월대 에서 열린 들잔치를 기념한 일종의 기록화 이다,

발문(跋文)에 의하면. 장준택(張俊宅) 등 칠순 노인 64명이 그들 자손의 주선으로 평소의 숙원을 풀어 만월대에 모여서 큰 잔치를 벌이는 장면을. 당시의 명가(名家) 金弘道에게 그리게 한 작품이다. 화면은 송악산 서쪽만 배경으로 되어있고.

들잔치는 고려 왕궁의 정전(正殿)인 회경전(會慶殿) 폐허 위에서 화려하게 펼쳐지고 있다. 그림속에 등장한 인물은 250명이 넘고, 저마다 다른 자세와 동작이 치밀한 관찰을 거쳐, 그사실적인 묘사에 정력을 기울인 자취가 역력히 드러나 있다.

이 작품은 단원 특유의 일종의 부벽준법(斧劈皴法)으 특색이 배경에 분명히 두드러져 있고.

설채도 매우 공을 들였으며. 군중이 입은 옷의 담소(淡素)한 색조까지 가려내서 그렸다.



 


제목 : 무동(舞童)

언제 : 18세기 말

재료 : 화첩 종이에 수묵담채

규격 : 28 x 23.5 cm

소장 : 국립중앙박물관


해설 : 한국 산수화에 새로운 경지를 연 단원 김홍도는. 한편으로 서민과 시정(市井)의 세속적인

일들을 다룬 풍속화를 개척하였다.

단원풍속도첩(檀園風俗圖帖)의 하나인 이 그림은, 풍악의 가락이 숨가쁘게 높아감에 따라

춤추며 돌아가는 소년의 옷자락에서 사뭇 바람이 이는 듯하고. 피리를 부는 말뚝 벙거지의 사내는 양볼이 입김으로 터질 듯 부풀었으며. 흥에 겨운 군상의 표현은 자못 열기찬 율동감을 멋지게 표현하고 있다.

이처럼 단원의 풍속도에는 구수하고도 익살스러운 흥겨움이 화면에 넘치고 있다.

천민으로 하대받던 대장장이. 풍각장이. 또는 마부나 머슴들의 생활에서 우러나오는

 삶의 흥겨움을 해학적으로 다룬 점은 당시로는 파격적인 일이었으며.

단원의 한 걸음 앞선 사회관을 반영한 것이라 하겠다.



 


제목 : 씨름

언제 : 18세기 말

재료 : 화첩 종이에 수묵담채

규격 : 28 x 23.5 cm

소장 : 국립중앙박물관


해설 : 단원이 활약한 영.정조(英.正祖)시대는 실학(實學)사상이 크게 일어나 새로운 서민의식이 풍미하던 때로서.

이런 기류와 함께 단원의 풍속화는 서민사회의 생업과 그 생태를 해학적으로 다루어, 단원풍속도 라는 특이한 장르를 정립했다. 단원의 풍속도를 보고 있노라면 서민 사회의 구수하고도 익살스러운 흥겨움이 느껴져, 모르는 사이에 그림 속으로 빠져들고 만다. 이 씨름은 단원풍속도 중의 하나로서, 위아래 두 무리로 관중을 배치하고. 그 한가운데에 서로 지지 않으려고

안간힘을 쓰는 씨름꾼을 그렸으며. 왼편에는 목판을 멘 엿장수를 그렸다.

외면당한 엿장수. 벗어놓은 신발. 갓 따위가 화면의 단조로움을 덜어주며. 긴장된 분위기를 멋지게 조절하고 있다.

안간힘을 쓰는 씨름꾼의 모습과 표정. 흥을 돋구는 군중들의 구도가 자못 짜임새 있을 뿐 아니라.

흥분과 초조가 엇갈리는 가운데 서민적인 해학이 고조되고 있다.


 

 

 


제목 : 산사귀승도(山寺歸僧圖)

언제 : 18세기 말

재료 : 종이에 담채

규격 : 28 x 32.7 cm

소장 : 한국개인


해설 : 화면 전부가 하나의 꼴짜기이고. 양쪽 절벽이 가파르게 서 있어 계곡이 깊다.

저 멀리 더 깊은 골에서 흘러오는 계곡물 위로, 어느절로 들어가는 극락교(極樂橋)가,

맛배기와지붕 구조와 둥근 창으로 되어 있다.

이 다리를 건너면 절의 암자가 하나 비스듬히 지붕과 한쪽 벽만 보이는데. 그림의 전경 왼쪽아래에 삭발승 하나가 지팡이를 짚고 벼랑길을 따라 귀사(歸寺)하고 있다.

바위 벼랑은 모두 초묵(焦墨)의 굵직하고 꺾이는, 붓자국으로 힘있게 내리긋고.

절벽의 암준(岩皴)도 굵은 초묵으로 담묵 바탕에 내리긋거나 점을 찍었다.

왼쪽벼랑 즉 귀사하는 중의 머리 위로. 단풍난무가 바위에 뿌리를 박고 늘어져 있고.

또 이곳저곳에 시커먼 먹을 찍어. 곧은 침엽수 줄기를 묘사하고. 짧은 횡선으로 두툼하거나

 성기게 가지와 잎을 나타냈다. 후면의 계곡은 아득하게 하늘과 접하여. 끝간 데를 모르겠고. 그 위 훤한 공간에다 싯귀를 썼지만. 그중 몇자만 알아보겠다.

또한 암자의 파풍(破風)과. 극락교의 토벽(土壁)에만 연한 주칠과 황토색이 보인다.

근래에 위창(葦滄) 오세창(吳世昌)이. 단원의 낙관과 제시(題詩)가 벗겨진 것을

애석해 하는 평어(評語)와 낙관. 도서(圖書)가 왼편에 있다.

 


단원 김홍도(檀園 弘道)

작 품

청심대(靑心臺)

총석정(叢石亭)

기려원유도(騎驢遠游圖)

씨름(Wrestling)

서 당

빨래터(A Wash Place)

무이귀도(武夷歸悼)

오류귀장(五柳歸庄)

포의풍류도(布衣風流圖)

삼선도(三仙圖)

송하취생도(松下吹笙圖)

사녀도(仕女圖)

송하맹호도(松下猛虎圖)

묵죽도(墨竹圖)

황묘농접도(黃猫弄蝶圖)

송하담소도(松下談笑圖)

타 작

기와얹기

대장간

논갈이

나룻배

고기잡이

점괘

고누놀이

편자박기

점심을 먹는 풍경

장터길

신행

자리짜기

무동

행상

그림감상

노중상봉

활쏘기

주막

담배썰기

산수도(山水圖)

단원도(檀園圖)

쌍치도

호취도(豪鷲圖)

 

 

매작도(梅鵲圖)

유압도(遊鴨圖)

 

 

공부방고전미술여행김홍도

출처 : 난사랑
글쓴이 : 창곡 원글보기
메모 :

'그림의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국화 근대 6대가  (0) 2010.04.05
[스크랩] 몽유도원도  (0) 2010.04.05
[스크랩] 신윤복  (0) 2010.04.05
[스크랩] 장승업  (0) 2010.04.05
[스크랩] 3대 묵죽화가  (0) 2010.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