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수를 알면 한자가 보인다(초급)

漢字의變(변할변)遷(옮길천)과 부수제1획

최흔용 2009. 4. 20. 18:07

한자의 변천

1 : 갑골문자

 

 

 

 오늘날 알려진 가장 오래된 한자의 모습은 갑골문자다. 약 3500년전 황하주변에서 은나라 시대에 만들어진 문자다. 甲骨文字란 거북이나 자라 같은 딱딱한 등껍질이나 물소의 단단한 뼈에 새겨진 문자를 뜻한다. 갑골문자의 최초발견은 1899년 中國 산동 國子監(살필감)祭(제사제=제사좨로써야 맞음)酒(술주) ;<현 국립대총장에 해당> 王懿(아름다울의)榮(꽃영) 이란 사람이 達(통달할달)仁(어질인)堂(집당)이라는 한약방에서 지어온 한약재인 龍骨에 새겨진 부호를 우연히 발견 처음으로 한자의 字源(근원원)과 고대인의 思想(생각할상). 生活(살활)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갑골문자는 고대인들이 거북이가 오래 살아서 신령이 깃든 동물로 여기고 점술을 보게 됐고 그 점술 결과를 거북등딱지에 적어 놓은 글자이고 옛날 은나라 땅이었던 테라는 곳에 살던 농부들이 밭을 갈다가 뼈가 나오자 용골(용뼈)로 알고 한약제상에 팔았다함.)

 갑골문자는 여러시대를 거치면서 회화적 특징이 점점 사라지고 간단하면서 세련된 부호나 기호형태로 문자의 모양으로 바뀌게 되었다.

 2: 金石文(주나라 시대땐 청동기등 금속에 새겨진글자=금문이라하고 진나라땐 돌에 새겨진것도 전하고있어 이를 금석문이라함) ,

3:篆(전서전)書=(춘추전국시대부터 秦<벼이름진>대에 걸쳐 쓰여진것으로 전국시대에 史주(주문주)가 정리한 대전 또는 주문이라하고 진의 자형통일정책이 실현되어 李斯(이사)가 획일화한 자형을 小篆(전서전)이라고한다.)

4 : 隸(종예)書=소전을 간략화된 형태

5 : 楷(나무이름해)書=후한시대에 이르러 사용되어 온 해서체는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正書體(몸체)로서  예서를 더욱 간략히 하고 발전시킨 형태

6 : 행˙초서(行<다닐행>.草<풀초>書 =해서체 이후로는 삼국(蜀<나라이름촉>, 吳<나라이름오> 魏<나라이름위>) 시대에 붓으로 쓰기에 편리한 行書와 草書체가 생겨났다.

 

부수의 위치에 따른 분류

 

가 . 邊(가변) : 글자의 왼쪽 부분을 차지하는 부수 (扁<작을편> 이라고도 함)

          예)  人 (사람인)  -  仁(어질인), 仙(신선선), 信(믿을신)

                手 (손 수)    -  指(손가락지), 持(가질지), 授(줄수)

                 자축거릴척  -  往(갈왕), 待(기다릴대), 得(얻을득)

나 . 旁(두루방) : 글자의 오른쪽 부분을 차지하는 부수

         예) 頁 (머리혈)  -頂(정수리정), 順(순할순), 頭(머리두)

              欠(하품할흠) -次(버금차), 欲(바랄욕), 歌(노래가)

              칠복   - 收(거둘수), 改(고칠개), 放(놓을방)

다 . 冠(갓,머리관) : 글자의 윗부분을 차지하는 부수

          예) 艸(풀초) - 花(꽃화), 草(풀초), 落(떨어질락)

               竹(대죽) - 笑(웃을소), 答(대답할답), 筆(붓필)

               움집면  -  宇(집우), 安(편안할안), 家(집가)

     ※집면자를 갓머리라고 하면 틀린것이고 집면이라 해야하며 갓관자 처럼 머리에 쓴다고 갓머리라고 하기도 한다함

라 . 脚(다리. 발각) : 글자의 아래 부분을 차지하는 부수

          예) 火(불화) - 烏(까마귀오), 無(없을무), 然(그러할연)

               皿(그릇명) -益(더할익), 盛(성할성), 盡(다할진)

               어진사람인 - 元(으뜸원), 兄(맏형), 光(빛광)

마 . 垂(드리울수,엄호수) : 글자의 위에서 왼쪽으로 늘어진 부분을 동시에 차지하고 있는 부수

           예) 尸(주검시) - 尾(꼬리미), 居(살거), 屋(집옥)

                    범호      - 虎(범호), 虛(빌허), 處(곳처)

                    집염    -  店(가게점), 度(법도법), 庭(뜰정)

바 . 繞(두를요, 받침요) : 글자의 왼쪽에서 밑 부분을 동시에 차지하고 있는 부수

            예)  머뭇거릴착 - 近(가까울근), 迎(맞을영), 道(길도)

                  走(달릴주,달아날주) - 起(일어날기), 超(뛰어넘을초), 趙(나라조)

                  길게걸을인 - 廷(조정정), 延(끌연), 建(세울건)

사 . 構(얽을구, 몸구) : 글자의 둘레를 차지하고 있는 부수

            예) 口(에워쌀위) - 國

                   門(문문) - 間(사이간)

                   감출혜   - 區(구역구)

                   行(다닐행)-街(거리가)

아 . 單(홑단)獨(홀로독)體(몸체)<단독체,제부수> : 글자 전체가 그대로 부수인 것

            예) 山(뫼산), 水(물수), 木(나무목), 見(볼견), 牛(소우), 月(달월), 日(날일), 金(쇠금), 馬(말마)

자 . 위치가 글자의 상. 하 .좌. 우 에 다양하게 쓰인 부수

            예) 口= 品(물건품), 哀(슬플애), 告(고할고), 呼(부를호), 同(한가지동)

 

[   제 1 획    ]

 

○ ㅣ (위 아래 뚫을곤) :위에서 아래로 , 아래에서 위로 뚫는다 해서 뚫을곤

   어떤 글자의 엄마글자가 필요해서 만든글자

  예) 中(가운데중)- 뚫을곤의 자식글자

       串(익힐관, 구슬이나 엽전을 꿰다 해서 괠관) →串枾(감나무시)<관시>=곶감

          串(곶곶): 어떤 물건이나 사물에서 튀어나온 부분

                長山串(장산곶),  호미곶(長<갈기기>串 이라했는데 2001년에 虎尾串(호랑이꼬리)라고 바꿈

 

                            우리나라지도가 호랑이 라는 것에서 장기곶이 호미곶으로 바뀜

       患(근심할환)-마음속으로 근심한다( 관이 환으로 음이 변화 된것)

아음(어금니)-ㄱ

설음(혀)-ㄴ

치(치아)-ㅅ

순음(입술)-ㅁ,ㅂ,ㅍ<입술로 젖을 빠는 모양 그래서 아이들이 순음이 최고로 발달 됨. 엄마 맘마. 파파

후음(목구멍소리)-ㅇ

   아음과 후음이 발음되는 위치가 비슷해서 음가변화 즉 발음변화가 잘 된다.

ㄱ  -  ㅎ

加(더할가)  -  架(시렁가)                           可(옳을가)  -  苛(매울가)

                    賀(하례하)                                               何(어찌하)

貫(꾈관) = 구슬을 옆으로 꾄모습(貫子 - 갓에  꿰어 있는 구슬)

 

중국의 4대 발명품중에 하나인 종이는 후한서에 105년(1904년전) 채륜이라는 사람이 종이를 만들었다고 채륜기에서 전한다. 갑골문자가 적혀던 거북이등껍질이후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는 중국에서 가장 흔한것이 대나무였다. 그 대나무를  쪼개어 역어서 종이 대신 썻는데 여기서 생긴 글자가 冊(책책)이고  폭이 좁은  대나무에다 써야 하니 눈목 目  정상적인 눈이면 옆으로 써야하나 위에서 아래로 쓰게되고 고기어  魚  도역시  위에서 아래로 쓰게됨

慣(버릇관)

中(가운데중) - 깃발과 관련된 글자 (깃발이 한 집단을 상징하고 가운데 중심에 깃발을 세웠기 때문에 가운데중자가됨)       仲(버금중), 忠(충성충), 衷(속마음충,속물충)

 

○ `(불똥주, 점주) : 심지에서 타오르는 불똥을 표현(일정한 시간이나 장소등을 끝냄을 표시함)

     木자 처럼 단독으로 쓰이는 것이 아니라 다른 글자에 도움을 주는 글자이기 때문에 필요 역활을 할때면 점주로 쓰인다.  점주로 쓰일땐 그 글자를 강조하거나 구분 할 때 쓰임   (國  ,   永(길영))

     主(주인주)  → 炷(심지주) =불을 밝히면 가운데 있어 주인이 되기 때문에 주인주,(주인공, 가정주부 ,주체의식, 안주인 등에 주자로 쓰임)

    가정주부에서 주체의식이 없으면 가정부에 지나지 않는다.

爲 己(자기기)之(갈지)學   爲(할위)人 之 學 = 내 삶을 위한 사람을 위한 공부이어야 한다.

   柱(기둥주) -나무의주인  (수은주, 전신주에 주자로 쓰임)

   駐(말머물주) - 주차장등에 주로 쓰임

   住(살주)   

   注(물댈주)

刀(칼도)

刃(칼날인)-칼날부분임을 강조  (忍(참을인)-중국에는 백가구가 모여 사는 집이 있는데 거기서 9대가 모여사는 할아버지께  9대가 모여 잘 사는 이유를 물으니 백번 참기때문이라고 했다나 (百 忍)

  認(인정할인)

 玉(구슬옥)- 많은것을 대나무에 쓸 수없어 점이나 선으로 표현하고 3개로 중여서 썼다.

■ 나무에 열매가 많은것을  果(열매과) 로 品(물건품), 蟲(벌레충), 森(나무빽빽할삼) 처럼 줄여씀

동그란 원을 그리고 그 원을 보고 생각되는것 10가지를 적게 하면 구슬, 공, 지구, 하늘, 맨홀, 마음, 쟁반,해, ..보는 사람 마다 다르게 보일 수가 있다. 天圓(둥글원)地 方(모방)-하늘은 동그랗고 땅은 네모낳다고 생각해서 동,서,남,북이 생김

 자 사람뒤에 사람있고 사람뒤에 사람있고 또 사람뒤에 사람있고 모두 몇명일까? 답은 5명 10명이 될 수도 있고 2명이 될수도 있다.2명이 번갈아 서면 되니까 이렇듯 남을 가르치려면 사고의 폭을 넓혀야 한다.

사과 1개를 8조각으로 만드려면 한쪽면으로만 자르려 하지말고 위로 2등분  옆을 한번 자르면 8조각이 나온다

 珠(구슬주)    ,  柱( 기둥주)    , 株(그루주)  ,  理(다스릴리)

 구슬옥자와 임금왕자는 옥자는 위 아래의 높이가 같게 쓰였고 나중에 임금왕자와 구별하기위해 점을 찍게됨

임금왕자는 위높이가 짧고 밑은 넓게 쓰였다.그리고 원래는 도끼형상에서 나온 글자다. 도끼는 권위의 상징이기 때문이다. (면류관을 쓰고 구장복을 입고 에서 의식에 입었던 것들인데 거기에 보면 도끼 모양의 그림이 맀다 

 

○ / (삐칠변)  :왼쪽으로 내려 삐치다 의뜻

          다른 글자의 구성에 들어감

      人(사람인),      入(들입),     八(여덟팔)- 물체를 나누는 형상에서 나온 글자

○ \ (파임불) - 삐침변에 파임불을 같이 쓴 글자 -   金(쇠금),  全(온전할전)=ㅅ 러럼 써야지 똑같이 맞 붙여 쓰면 안된다.

     囚(가둘수),   內(안내)- 남들의 왕이라는뜻

● 예전 노태우 대통령이 자기가 근무 했던 부대에 대통령이 되서 시찰하던중 自信感을 쓰던중 自身감 이라고 썼다함  -   바르게 알고 쓰자는 뜻

 

○  乙(새을) =し   : 1) 물위에 새나 오리가 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라고 하지만 3500년전 갑골문자나 금문에서는 새싹이 움터남을 표현한 글자였으나  진시황이 글자도 통일하면서 소전에 쓰여지고 진나라가 15년 밖에 통치가 되고 그 뒤 한나라가 들어 서면서 허신이라는 사람이 소전을 바탕으로 설문해자를 만들면서 새모양을 본뜬 글자로 새을이 됐다. 이것은 갑골문자를 몰라서 온 병패다.

 2)  둘째 첫 나드리라는 뜻(甲乙丙丁)

 3)  아무개을 이라는뜻  (을지문덕, 갑론을박)

       乭( 이름돌, 돌돌) 일제시대때 세대일재정리 하면서 돌쇠, 갑돌이 할때 썼던 우리나라에서먄 쓰는 글자(=國子 국자라함  국자에는 畓(논답)-중국이나 일본에서는 田를쓴다. 我(나아)田引(끝인)水<내논에 물대기> 처럼 畓자가아닌 田를 쓴다.

       垈(터대)

       欌(장농장)

       曺(성조) - 曹(마을조)=조조할때 쓰는 글자<요즘은 앞에  있는 성조 曺자를 씀

      軋(삐걱거릴알)    -    轢(삐걱거릴력)      ㄱ 이 ㅎ 으로 변화  ㅇ 이 ㅅ(반치음) 으로 변화됨

      札(패찰)    - 명찰 , 개찰구 할때 쓰는 글자

     살, 잘, 찰. 은 ㅅ 이 기본자 인  齒音이다 .

     한글 28자중 4자( 아래아<.>, 여린히읗 , 꼭지이응, 반치음<△>)은 구강변화로 없어진 것이다.

※乙巳보호조약은 주권을 잃어 버린 날로 일제 강점기라고 해야하는 것처럼 乙巳勒(굴레늑)約(맺을약)이라고 해야한다<굴레란 소나 말의 입에 씌우는 굴레를 말한다>

 조선시대를 이조시대라 하지말고  명성왕후를  민비라 부르면 안되고 백자를 이조백자라 하면 안된다.

을씨년 스럽다는 을사년 처럼 어둡다에서 나온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