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수를 알면 한자가 보인다(초급)

부수 제 2획

최흔용 2009. 4. 27. 04:26

                                제 2 획

 ○갈고리궐

 

갈고리궐- 요즘 정육점에 고기를 걸어 놓을때 쓰는 갈고리가 변형된 글자

                    필획의 의미로 쓰이고 다른 글자 구성에 도움이 되는 글자지 뜻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了(마칠료) - 손을 모아서 활동을 쉰다는 표현

       子(아들자) - 아이가 겆지 못해 다리를 하나로 표현(신생아) 그래서 머리를 강조해서 된 글자

                         원래의 의미는 아이자인데 나중에 성별이 구분 되어 아들자로 됨

                  八等(등급등)身(몸신) - 머리를 기준 1로 삼아 몸 전체를 나눔, 우리나라 사람들은 일반적으

                                                   로 7.45등신이라한다. 아기들은 4등신이다.

             女(계집여) - 여자 아이가 다소곳이 앉아 있는 모습의 글자

                    여자아이 그림 가슴부분에 점 둘으 찍어서 된 글자가 母(어미모)이다.

             兒(아이아) - 이  글자 역시 머리를 강조한 글자

                       腦(뇌뇌) - 오른쪽의 글자는 머리위의 털노자에 정수리신자가 쓰인글자다.정수리 부분은

                                      두개골을 위에서 보면 田 처럼 되어 있다

                                     思(생각사)는  원래 田 위에 /이 있고 그밑에 心이 쓰인 글자 

                       惱(괴로워할노, 고민할노)

                臼(절구구)- 이 글자는 아이를 표현한 것이 아니라 절구 양옆의 우둘두둘함을 표현한 글자

             保(보호할보) - 앞의 人은 사람의 손을 뜻해 손으로 어린아이를 보호한다는 뜻

             安(편안할안) - 집에 여자가 있다는 의미

             好(좋을호)  -  여자가 어린아이를 안고 있는 모습의 글자이지 여자와 남자가 같이 있어 좋을호가

                                 아니다.

 

○ 二(두이) - 수와 관련 두개의 선을 그린 표현

        六 - 원래는 언덕륙 자다. 집과 관련된 글자이고 선을 6개 쓸수 없어 음이 같은 六을 빌려서 쓴 글자다.

            陸(뭍륙) - 물이 흐르는 위에 집이 2개가 있는 글자 이글자가 언덕륙자이다 여기에 고을읍이 붙어

                           뭍륙이됨

       五 - 실패오자를 대신해서 쓴것이 변형된 글자

       四 -  소나 돼지의 주둥이를 표현한 글자

              口四(숨쉴휘)

   二男二女 - 아들둘의 딸둘( 숫자의 의미)

   二男  -  둘째 (차례의의미)

一자등이 문서상 쓰일때 도용이 소지가 있어 음은 같으나 뜻이 다른글자를 쓰는데 이런 글자를 갖은자라한다

              壹 (한일) , 貳 (두이) , 參 (석삼) , 肆 (방자할사), 伍 (다섯사람오)

              陸 (뭍륙) , 漆 (옻칠) , 捌 (깨트릴팔) , 玖 (옥돌구) , 拾(주을십)

        위 글자중 일, 이, 삼, 십은 많이 사용하나 나머지는 잘 안 쓰인다.

 二 는 모든 글자의 엄마글자다.

些(적을사) - 此(이를차)-사람이 있고 그 옆에 발을 표현  -  <齒音으로 ㅅ, ㅈ, ㅊ 으로 음이 변화된 글자)

               - 二는 두번째라는 뜻

      止그칠지) - 발이 멈췄다는 의미. 여기서 발은 남자발이다

      步(걸음보) , 足(발족) , 走(달릴주, 달라날주,하인주)

      之(갈지) - 여자발

      孔(구멍공) - 아이와 엄마젖을 표현

      乳(젖유)  - 손과 아이와 엄마젖이 있는 표현

次(버금차) -二欠, 원래는 이렇게 써야한다 .氷(얼음빙) 欠(하품흠)이 아님

               - 사람이 입을 벌려 하품하는 모습을 표현한 글자

     얼음빙변글자들 ; 冷(찰냉), 凍(얼동), 冬(겨울동), 寒(찰한), 凝(엉길응), 凉(서늘할량)

井(우물정) -우물의 기틀로 우물을 팔때 흙이 무너 지지 말라고 세우는 나무나 돌을 표현한 글자

          속담에 목마른 사람이 우물을 판다.가  있다

     井田法 ; 군주가 일반 백성에게 땅을 나눠줌

                   1                      2                        3
                   4                         5
                   6                      7                       8

 1~8까지는 私(사사로울사)田; 개인땅이고 가운데 비어 있는 땅은 公(공변될공)田으로 다 같이 농사를 지어 나라에 세금을 냄

 畸(뙈기밭기) ; 귀퉁이땅, 기형아할때 기자로 쓰임

 

○ ㅗ : 214개의 부수자중  유일하게 뜻이 없는 글자

                두라고 읽기도 하고 亥(돼지해)자의 머리 글자라고 해서 돼지머리해 라고 부르기도 한다.

  豕(돼지시)- 어떤 농부네 집에 돼지가 새끼를 낳았는데 얼룩돼지를 낳았다 그러자 요동성에 자랑하고 싶어 돼지를 몰고 요동성에 와보니 요동성에 돼지들이 얼룩얼룩 하더라 해서 요동시, 돼지시라는 말이 생김

 家(집가),室(집실),宅(집택),宮(집궁),宇(집우),宙(집주)처럼 豕도 문자가 문화를 표현한다.

田는 밭을 불태우다 사냥을 한다는 뜻 그래서 田은 밭을 만들기 위해 불을 놓으니 불에 놀란 동물들이 뛰쳐 나오자 사냥한다는 의미

焚(불사를분) -숲에 불을 낸다는 뜻

※絃(줄현),管(대롱관), 打(칠타),접안랜즈(눈에 대는 랜즈), 접물랜즈(물건에대는랜즈) 처럼 한자의 음이나 뜻을 알면 말의 의미를 알수 있다.

冠(갓관)詞(말씀사), 嫁(시집갈가), 稼(심을가),

豚(돼지돈) +가스는 일본의 튀긴다는 뜻의 말이다.캔+통이 깡통, 살색이 연주황으로 연주황이 살구색으로 시대에 따라 변천 통영되는 글자이다.

猪(돼지저,멧돼지저) -원래는豕者로 써야한다. 저팔계의저자로 , 저돌적이다의 저자로 쓰임

* 만약 맷돼지를 만나면 나무 뒤로 숨어라 그러면 나무를 받을 테니까.

  생태계에 제일 위가 육식동물인 고양이과 동물 호랑이, 표범,삵,시라소니, 등이 있는데 계제수가 적고 없다보니 그 아래인 멧돼지가 불어나서  농사를 망치고 마을에 출현을 하고 있다.(생태계가 무너졌기 때문)

* 제육볶음의 원말은 저육볶음이다. 

*石자를 서예에서 口위에 점을 찍어 쓸수있다.

富(부할부)貴(귀할기)無頂(정수리정) 의 富의점을 빼서 쓸수도 있다 단 서예에서만 이다.

亥(돼지해)-該(갖출해), 駭(놀랄해):말이 놀란다는뜻, 咳(기침해):입으로 기침한다는뜻,해수천식에쓰임.

                해수할때 수는 기침할수를 쓴다.  孩(아해,어린아이해)

     놀라다의뜻한자-驚(놀랄경) /苟(진실로구)에서 머리부분에 풀초를 쓰면 진실로구가 되나 ㅓㅏ 를 쓰면

                                               경계할극이됨

*산수갑산을 가더라도가 아니라 삼수갑산이 맞다.귀양가는 최고 오지였던 삼수라는 고을과 갑산이라는 고을

     이름이고 , 평양감사가 아니라  평안감사(오늘날의도지사) 가 맞다.

美(아름다울미):사람 머리위에 깃털같은것으로 장식한 모양에서 나온 글자(제사장들이 썻던 장식)

  舊(예구) 이것을 옛구로 가르치는데 틀린것이다 사전에도 예구로 되어 있으니 정확하게 알고 써야 할 글자

          -舊의 머리부분의 풀초의 의미가 아니라 새의 깃털을 의미한다.( 여기서의 새=부엉이)

 古(예고) 이것 역시 옛고(관형사의 형태) 가 아닌 예고(명사의 형태) 라고 해야 한다.

交(엇갈릴교,사귈교,엇갈릴고) - 발이 엇갈려 있는 모습

 絞(목맬교) , 較(비교할교)- 車의 수레는 전차를 말함, 校(학교교, 바람잡을교) - 나무울타리라는 뜻

車(수레거) , 軍(군사군) , 陣(진칠진) , 斬(벨참) - 斤(도끼근)

戰(싸울전) , 戒(경계할계) , 械(기계계) , 代(대신할대)

 

○人(사람인)  ; 사람 자체에서 나온 글자

        45억년전 지구가 생겨 났다고 한다 사람의 존재는 지금으로 부터 100만년전 이라고한다.

        그리고 사람의 존재는 물속에서 생겨 났고 고래처럼 사람도 바다 속에서 나왔다. 그래서 양수가 바닷물

         의 농도와 같다고 한다.

       처음 인류가 아프리카인 따뜻한 곳에서 살았고 전세계로 퍼졌다 한다.

       아프리카에서 수렵생활을 하면서 나무위에서 살다가 초원으로 나오면서 맹수들을 피해 두발로 서게 됐

       고 연장을 사용하면서 손을 자유롭게 사용하게 되면서 두뇌도 발달하게 되었다.

      지구는 태양계에서 가장 적당한 거리에 위치 생물이 존재하게 되었다.

      수, 금(평균400도) , 지구 , 화 (-40도) , 목 , 토 , 해왕성 , 명왕성(소행성1343.40으로 바뀜-플라토라늄

                                                                                   행성으로 격하함)

       태양의 제일 바깥쪽으로 돌아서 빙하기가 왔고 공룡들이 사라지게됨

人 + 山 = 仙(신선선) - 이자 처럼 사람인이 다른 글자의 항상 왼쪽에만 오는데 이 사람인을 인변이라고 한다.

人間(사이간 - 관계를 나타냄)

    나쁜인사람 / 나쁜인놈 / 나쁜놈 처럼 인이 세월이 흐르면서 없어 졌으나 의미는 있는 말이 됨

 張(베풀장)本(근본본)人:나쁜일을 만드는 사람을 뜻하므로 조심해서 써야 하는 말이다.또 조심해야 하는 말은 未(아닐미)亡(망할망)人은 남편이 죽었을때 부인이 자신을 부르는 말이지 제 3자가 쓰면 안되는 말이다.

査(사실할사)夫(사내부)人또한 정경부인처럼 높임말이다.그래서 같은 항렬일때 사용해야지 항렬이 낮은 사람이 부르면 안되는 말이다. 낮은 사람이 부를때는 사장어른이라고 불러야 한다.

남의 부인을 부를때 令(하여금영)夫人이라고 부른다. 대통령부인만 부르는 말이 아니다.

御(어거할어)夫人은 일본에서 남의부인을 높이는 말이다. 일본말이므로 되도록 쓰지 말자.

福(복복)夫人은 평범한 살림하던 사람을 말하는 의미지 높임말이 아니다.

일본사람들이 한국사람들을 조센징이라고 하면 싫어하듯 중국인들도 支(가를지)那(어찌나)人이라고 부르면 싫어한다. 진나라를 뜻하는 말이다.

 동진아, 남진아, 하는말이 동중국계. 남중국계로 바꿔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