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수로 한자정복(중급)

白(흰백) ~示(보일시) 까지(2009.5.12.화.아침에만비오고바람불어추움)

최흔용 2009. 5. 13. 05:53

○  白 (흰백) : 색은 추상적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형태로 나타낼수 없었다. 그래서 동.식물등 자연에서

                    볼수 있는 것에서 색을 표현했다.

                    언어학자들의 견해에 의하면  붉다는 불에서 , 푸르다는 풀에서 , 노랗다는 사슴이나 노루의

                    털 에서(노루를 신성한 동물로 여긴것 같다) , 검다는 곰에서 , 희다는 해(햇빛)에서 나왔다

                    는 5가지 색의 주장이 유력하다.

               - 중국 공산당이 천리장성 이전에 위치해 있던 시절 장계석총통이 이끌던 국민당이 공산당에 지

                 고 대만으로 쫓겨 갔다.  중국 본토의 국기를 오성훈기라 하고 대만의 국기를 靑天白日

                  旗(기기)라 하는데 백은 해를 뜻한다.

   

(대만국기)

 

(중국국기)

                빛의 삼원색은 빨강+파랑+초록이다. 색을 인식하는 물리적 원리에 의해 세가지색을 합하면 흰색

                이다

  

 

         해의 온도는 6000도 정도라고 한다. 이 온도를 보려면 포항제철의 용광로를 보면 되는데 용광로에서

         1000도 일땐 붉은색을 띄고 3000도 일 경우 주황색 ,5000도 이상일경우는 흰색으로 보인다고 한다.

        白 은 해와 관련이 있고 그래서 해를 비롯 흰뱀, 흰사슴등을 숭배의 대상으로 여겼다고 한다.

         애기 백일때 백설기를 먹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1 白(흰백은 해가 사방으로 퍼지는데 수(지)평선위에 해가 떠오르는 모습을 표현한 글자다.

        백기, 백마 , 백호 등에 쓰이고 예전 4신도인 상상의 동물인 좌청룡 , 우백호 , 남주작 , 북현무 에도쓰임

  *  三 白 食 品 = 건강하기 위해 먹어야하는 3가지 백색식품 = 쌀 , 소금 , 설탕

                    설탕을 많이 먹으면 인내력이 없어지고 범죄자들이 많이 먹는다고 한다.

2  白 (없을백) = 없다는 뜻도 있다

    백치 = 없다

    백숙 =  원래는 닭과 맹물만 넣고 끓였다 .

    白 手 건달 = 손에 아무것도 없다는 뜻

    백병전 = 전쟁중 총알이 떨어져 총에 검을 꽂고 싸운다는 뜻

    백정 = 나라에 세금을 안내는 사람

             고려때 양반들중 전공이나 임금에게 특혜를 받아 세금을 안내는 사람들을 일컫던말이었으나

             조선시대에 들어와 백정들이 천민가운데 세금을 안내던 사람들이었다.

             백정은 처음부터 천한사람을 지칭한 말이 아니다.

    白沸(끓일비)湯 (끓일탕)=  가난집에  손님이 추운겨울에 오셨는데 대접할것이 없어  맹물을 끓여

                                         대접한다는 뜻

   和(화할화)白會(모을회)義(옳을의) = 만장일치

             통일 신라때 화랑들이 화합을 위해 이견이 없을때 까지 회의를 했다는 뜻

3  말하다라는 뜻도 있다

   고백 , 독백 , 방백(개그맨 왕비호가 방청객 게스트와 이야기하는것) , 주인백 , 현장소장백에 쓰인글자

   * 도로나 공사장에서 " 迂(멀우)回(돌아올회)하시오 " 는 오른쪽으로 가라는 뜻이 아니라

           멀리 돌아가라는 뜻이다.

  白이 다른글자와 구성에 도움을 주면서 음의 역활하는 글자

  *  百 (일백백)- 백방수소문, 일당백 , 일벌백개 에 쓰이는 글자

       百(일백백) 合(합할합) = 뿌리가 많다는 뜻 ( 흰색의 뜻이 아님)

       睡(잘수 , 잠잘수) 蓮 (연발연) 낮에 자는것처럼 오무리고 있다가 밤에 꽃이 핀다는 뜻

       百 姓(성성)

  * 伯 (맏백) = 맏아들 - 백부 , 화백 , 백중지세 ,

  * 栢 (나무이름백)  = 측백나무  , 實(열매실)栢 (잣나무백) - 잣나무씨앗

                   栢  ( 잣나무백) 이라도 하나 나무이름백이 맞다.

  * 柏 (나무이름백)

  * 拍(손뼉칠박 , 칠박) - 박장대소에 쓰는 글자

  * 泊 (배 닿을박, 배댈박)

  * 迫(핍박할박 , 닥칠박) - 박진감 . 박력에 쓰임

  * 碧(푸를벽) = 옥과 같이 푸른돌 - 벽계수 ,

                       桑(뽕나무상)田(밭전)碧(푸를벽)海(바다해) =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되었다는 뜻으

                                   로 세상이 몰라보게 변했다는 뜻과 몰라볼 정도로 세상이 빠르게 변한다는 뜻

  * 帛(비단백)

  *  魄 (넋백)

 

○ 皮 (가죽피) - 털이 있는 가죽 - 철면피 , 모피 , 호피 , 피부 , 탈피에 쓰인글자

            革( 가죽혁)  - 털 없이 펼쳐 놓은 가죽 - 혁대 , 혁명, 개혁 , 혁파 , 혁신에 쓰인 글자

          虎(범호) 死(죽을사)留(머무를유) 皮(가죽피) =豹(표범표)死留皮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긴다는 뜻이다 당나라가 망하고 양나라 장수였던 왕언장이라는 사람은 우

             직하고 싸움에 항상 쇠창을 들고 싸워서 왕철창이라고 불렸다한다. 진나라가 후당으로 바꿔 양나라

             에 처들어와 왕언장이 패하고 파면을 당했다가 후당이 다시 쳐 들어와  싸웠으나 이번엔 포로가 되

             어 후당 임금이 그의 용맹함을 높이사 후당백성 되기를 권하자 왕언장은 " 아침엔 양나라 저녁엔

             진나라를 섬기는 일은 없을 것이오" 하며 한말이다. 걸국 사형을 당함

      * 被 (이불피) - 피복, 피해 . 피선거권 , 피검사에 쓰이는 글자

      * 疲 (피곤할피, 지칠피) - 疲 勞(일할로) , 피곤

      * 彼 (저 피) - 피장파장, 지피지기 , 차일피일에 쓰이는 글자

      * 披(헤칠피)  -  피력 < 내마음을 풀어 헤쳐서 들어 낸다는 뜻)

                           披 露(이슬로, 드러낼로) 宴(잔치연)= 기쁨을 헤치고 들어 낸다는 뜻

                               로(노)점 , 로(노)숙 할때 쓰이는 글자

      * 破 (깨뜨릴파) - 파편 , 격파 에 쓰이는 글자

            破鏡(거울경) = 오늘날 나쁜 뜻으로 사용되나 원래는 전쟁이 나면 남편은 전쟁터에 아내와 아이들은

                               피란을 가게돼 헤어질때 몇년후 아이들을 만나면 서로 못알아 볼경우 서로를 확인 하

                               기 위해 거울을 반으로 쪼개어 나눠 가졌다는데서 나온 말이다.

       * 頗(치우칠파, 삐뚤어질파) = 머리가 한 쪽으로 치우쳤다는 뜻 - 편파적에 쓰이는 글자

       * 跛 (절름발이파) - 파행에 쓰임

       * 波 (물결파) - 일파만파 , 세파 , 평지풍파 , 전자파 (마이크로파) - 핸드폰에서 많이 나오는데 뇌세포를

                                                                                                  죽인다함

       * 婆 (할미파) - 세파에 시달린 여자를 뜻함

                            매파 , 산파 , 마파두부 , 노파 에 쓰인다.

 

○ 皿 (그릇명)

        皿 器 (그릇기)= 옛날에 그릇을 부르던 말

                * 음의 역활

  * 孟 (맏맹) 맏아들을 일컫는 말 - 맹자 , 맹하의 계절에 쓰인 글자.

  * 猛 (사나울 맹) - 맹견 , 맹호 , 맹렬 에 쓰인 글자

                 * 뜻의 역활

  * 盞 (잔잔)

  * 盆 (동이분) - 화분 , 분재 , 복분자( 산 딸기를 따서 뒤집어 놓으면 그 모양이 동이 모양이라는 뜻)

                  ★     覆(뒤집힐복,  덮을부<복> , 다시복)水 不 返(돌이킬반) 盆(동이분)

                       = 강태공이 자기를 알아 주는 이를 찾고자 낚시를 할때 (세월을 낚는다.) 낚시바늘을

                       구부러진것이 아닌 곧은 낚시 바늘로 낚시하는 것을 그의 아내 마씨가 알고 집을 돌보지 않

                       는다고 집을 나가버려다. 그후 주나라 무왕이 아버지인 문왕의 말을 따라 강태공을 책사로 

                       써서 전쟁에 승리 주나라를 세우는데 큰공을 세워 집에 금의환양 했는데 그 소식을 듣고 집

                       을 나갔던 부인이 찾아오자 강태공이 물동이에 물을 길어 오라고 하자 물을 길어 왔는데

                       그물을 마당에 쏟아 부으며 다시 양동이에 담아 보라고 부인에게 시키자 부인이 어떻게 담

                       느냐고 물으니 강태공이 부인 마씨에게 한 말이다. 

                        그후 강태공은 많은 공로로  무왕이 강태공을 제나라 왕이 되게 하였다한다.

    * 盜(훔칠도 ,도둑도)

    * 益 (더할익) = 물이 넘치는 형상

    * 溢 (넘칠일) = 물에 물을 더해 넘친다는 뜻

 

○ 目 (눈목) - 주목 , 목격자 에 쓰인 글자

         예전 대나무 책자에 글 쓰던 글자가 종이가 생기면서 변한 글자들이 있다

       峯(봉우리봉) = 峰 (봉우리봉)

       裏 (속리)  =  裡 (속리)

       慙 (부끄러울참) = (부끄러울참)

         (무리군) = 群 (무리군)   

  *  보다는 뜻

    看 (볼간) - 눈위에 손을 얹어 자세히 보는 형상 - 간호사, 주마간산에 쓰인다.

    睹 (볼도)

    瞰 (굽어볼감 , 볼감) = 위에서 내려다 보는 형상 - 조감도 (새가 높은 곳에서 아래를 내려다 본다

    眺 (바라볼조 , 볼조)

    相 (볼상 , 서로상) = 나무를 어디에 쓸까? 하고 본다는 뜻

                     후대에 서로 본다해서 서로상으로 쓰인다.

    瞿 (볼구)  = 두리번 거린다는 뜻

    懼 (두려워할구)

 < 모든 부수는 뜻이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예외인 것이 있는 글자가 있다. 辯 (판별할변) 자 같은 경우

     言 (말씀어)가 부수 일것이다 하나 辛(매울신)이 부수인 글자다.>- 외워야할 글자

 

○矛 (세모진 창모 , 창모) ; 찌르는 창을 말함

        予 (줄여, 나여) - 베틀에 날실이 있고 씨실이 왔다 갔다 하면서 옷감이 짜여지는 형상.

         창과창은 휘두를창으로 삼지창을 얘기한다.

   * 盾(방패순) 모순에 쓰이는 글자

             * 뜻보다 음으로 쓰인글자

  茅 (띠모) , 務( 힘쓸무 , 일무) = 손에 채찍을 들고 다그친다는 뜻

  霧 (안개무) - 오리무중에 쓰인다.  

             * 뜻의 역활

   矜 ( 창자루근 , 자랑할긍 , 얇을관)

  

 

○  矢 (화살시)

   * 嚆 (울효, 울릴효) 矢 : 화살이 날아가며 바람에 부딪치며 나는 소리

                                   처음을 시작 하는 말

                                  촤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 나오는 말

       濫 (넘칠남) 觴 (잔상) : 술잔에 술이 넘친다는 뜻

              음의 역활

 * 知 (알지) = 마음속에 있는 지식을 표현해서 입으로 하는 말을 뜻한다.

              - 지식 , 미지의세계 , 지천명 , 십년지기 , 무소부지 ,

     四 知 = 후한때 양진이라는 사람이 형주자사 (오늘날태수) 로 임명되어 부임해서 왔는데 밤중에 왕진이라

                는 사람이 찾아와 금을 바치려 하자 양진은 거절했다 그러자 왕밀이 아무도 모르는데 어떠냐고

                하자 양진이 天知 , 地知 , 我知 , 子知 (하늘이 알고 땅이알고 내가 알고 자네가 알지 않나 ) 에서

                나온말

   * 智 (슬기지 , 지혜지)- 원래 曰(가로왈)이 아니라 日(날일)이다

                                  -기지 , 지혜 , 예지력 , 인의예지에 쓰이는 글자

         老(늙을로) 馬 之 智 = 제나라에 관중이라는 사람이 전쟁중에 안개가 자욱한 날에 길을 잃어 버리게 되

                                      어 늙은 말을 앞장 세워 길을 찾았다는 데서 나온말

           -  사람은 人 中 (코와 입술사이 페인 골) 을 기준으로 반으로 나눴을때 왼쪽이 무겁다고 한다.

             심장(왼쪽에만 있음)을 비롯 장기가 더 많기 때문이다. 사람이 의식을 못해서 그렇지 왼쪽을 향해 가

             게 되어 있어서 산에서 길을 잃어 버리면 제자리에 와 있을 경우가 많고 이어  달리기를 할때  왼쪽

              으로 돌게 하는 이유도 넘어지지 않고 중심을 잡을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 코끼리가 무리를 지어 이동을 할때 최고 경험이 많고 늙은 코끼리가 앞장서고 젊은 코끼리가 양옆에

              서 호위하며 먹을것과 물을 찾아 이동한다. 말도 그런지 제나라 관중이 늙은 말을 이용해 길을 찾았

              다 한다.

           -  고수도 그냥두면 열매도 별로 없고 크지 않으므로 항상 가꾸고 가지치기도 해줘야 한다.

     * 痴 (어리석을치) - 치매 , 음치에 쓰인다.

     * 雉 (꿩치) - 雉(꿩치) 岳(큰산악) 山에 쓰인 글자

     * 疾 (병질)  - 치질, 안질 에 쓰이고 입성자 ㄱ ,ㄹ,ㅂ,이 음변화한 글자

 

○  石 (돌석)  ; 사람이 사용했던 각진 돌과 둥그런 모양의 돌이 있는 모양에서 나온 글자

           만약 언덕이라면 (기슭한, 언덕한) 을 써야 하지만 언덕이 아니고 석기를 표현한 글자라서 안썼

                  다. 

        (근원원) = 原 (근원원, 언덕원) , 岸( 언덕안) , 厓 (언덕애)

       石 은 옥석 , 보석 , 망부석 , 금강석 (다이아몬드)-탄소로 이루어져 마치 숯덩어리와 같다.

               대리석 (대리는 돌이 많이 나는 곳의 지명이다) 에 쓰이는 글자

    * 음의 역활

    碩 (클석) = 머리가 크다  - 석학박사에 쓰이는 글자

    拓 (넓힐척 . 박을탁,개척할탁) = 손으로 치워서 넓힌다는 뜻 -간척 , 개척에 쓰이는 글자

         魚 拓 (어탁) , 拓 本 (탁본) , 越(넘을월)尺(자척)

        30.3㎝ 가 1자 이고 중국은 33.3㎝ 이다

    斫 (벨작) - 작두에 쓰이는 글자

     * 뜻의 역활

    岩 ( 바위암) - 땅속에 나오는 광물들이 石 자를 쓰는 경우가 많다.

    硅 (규소규) - 습포제의 재료로서 모래에서 성분을 뽑아냄

    硝 (초석초) - 초煙 = 연기연 (화약연기) 이 쓸고간 깊은 계곡~~~

    砒 (비상비 , 비소비) - 비상약에 쓰인 글자

    구석시대부터 신석기 청동기시대 ~~~오늘날을 硅(규소규)石 器 시대라고 하는데 이유는 규소가 반도체를

            만드는데 절대적인 재료이기 때문이라한다.

   砂 (모래사)  = 沙(모래사)

   破 (깨뜨릴파)

   硯 (벼루연)

 

○  示 (보일시) = 기천제나 기우제등 제사를 지낼때 하늘과 가까운 높은 산에 올라가 제단을 쌓고 제사를

                        지내는데 제사를 지내는 탁자에서 나온 형상화 된 글자

     祭(제사제 = 단위에 고기를 손으로 만진다는 뜻) 祀(제사사) - 맏이 되는 사람이 제단앞에서 제사를 지낸

                                                            다는 뜻

    악수는 억수에서 온말로 농사에 도움이 되지 않는 비를 말함

 * 뜻의 역활

  祝 (빌축) = 빌어서 신령스러움을 드러내 보인다는 뜻

  福 (복복) , 祉 (복지) , 祥 (복상 ,상서러울상) , 祚 (복조) , 禧 (복희) , 祿(복록), 祺 (복기)-이름으로 많이

          쓰인 글자

    중국식당에 가면 복복자를 거꾸로 써 있는 것을 볼수 있는데 복이 쏟아 지라는 뜻이라 한다.

  福 (복복)은 (박쥐복)을 연상하게 된다.

   박쥐는 복을 상징

   목단은 풍유를 상징

   금붕어(金 魚 금어) 도 부유를 상징  -金 魚 滿(찰만) 堂(집당)=금붕어가 많은 그림은 풍유를 뜻한다

   기러기와 갈대는 평안을 상징 - 蘆 (갈대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