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짐승발자국유) 짐승에는 육식동물 - (분별할별)
초식동물 - (짐승발자국유) =소나말의 발자국으로 빨리 뛰기 위해
뭉툭하게 발달 되었다.
(짐승이름우,땅이름옹,긴꼬리원숭이우,허수아비우,처음우,성의하나우)
偶 (짝우) = 배우자
愚 (어리석을우)
遇 (만날우,땅이름옹)
萬 (일만만)=원뜻은 전갈을 뜻하는 글자 였으나 훗날 전갈을 뜻하는 글자가 생겼는데
(전갈채) 가 있다.
○ 禾 (벼화) = 이삭을 드리우고 있는 벼의 형상
和 (화할화) = 입으로 곡물을 나눠 먹었다는 뜻이 아니라 여러게 묶은 피리를 불어 음이 조화를 잘 이룬
다는 뜻이다 .
和의 본래 글자는 (화할화)로 가화만사성 에 和 대신 쓰이기도 한다.
科(조목과,과정과) 의 斗 (말두)는 용량를 재는 용기를 말한다.
秋(가을추)
穀 (곡식곡) 의 殼은 (껍질각)자 이다.
秉 (잡을병) - 벼를 손으로 잡은 형태.
種 (씨종) - 종자,황인종에 쓰이는 글자.
○ 穴 (구멍혈) = 집을 삼을수 있도록 파혜쳐진 굴이나 동굴 모양에서 생긴 글자 이며 땅에 구멍을 파는 형태
인 무덤을 뜻하기도 한다.
偕(함께해)老(늙을로) 同 (한가지동)穴 (구멍혈) = 부부가 한평생을 같이 지내며 같이 늙고 죽
어서는 같이 무덤에 묻힌다는 뜻
인중혈= 코와 입술사이의 페인곳에 있는 혈자리 인데 갑자기 혈압등으로 쓰러져 숨을 못쉴때
인중혈을 따주면 급살을 면한다고 한다.
용천혈 = 발바닥 중간에 있는 혈자리
不 入 虎 穴 不 得 虎 子(불입호혈부득호자) = 호랑이 굴에 가지않으면 호랑이새끼를 잡지 못
한다는 뜻
空 (빌공, 하늘공) - 공군에 쓰인 글자
突 (갑자기돌, 부딪칠돌) - 돌연사 에 쓰인 글자.
窒(막을질, 막힐질) - 질식에 쓰인 글자.
窟 (굴굴) = 사람이 굴을 파는 형상 - 소굴에 쓰이는 글자.
竊 (훔칠절) - 절도에 쓰이는 글자.
(훔칠절, 도둑절)
○ 立 (설립) = 사람이 땅에 서 있다는 뜻 - 立春大吉, 건립,기립, 자립에 쓰이는 글자.
호모 사피언스= 사고하는 동물
호모 에렉투스 = 직립인간
# 공자가 한 말중에 志(뜻지)學(배울학) = 15세에 배움에 뜻을 둔다.
而 (말이을이) 立(설립) =30세 나라에 등용되어 그 녹(월급)으로 가족을 부양한다
不(아니불)惑(미혹할혹) = 40세 세상일에 의혹됨이 없어진다.
知(알지)天命(목숨명) = 50세 하늘에 부여한 명을 안다.
耳(귀이)順(순할순) = 60세 남이 하는 말이 귀에 거슬림이 없다.<노여움이 없음>
從(쫒을종)心 = 70세 어떤 행동을 해도 사람들에게 모범이 된다.
古(예고) 稀(드믈희) = 70세까지 사는 것이 드믈었다는 뜻으로 공자가 한 말은 아니다.
笠(삿갓립 )= 김삿갓 의 예명은 金 笠 이고 본명은 김병연이다 평안도 압록강 주변에 위치한 선천이라
는 고을의 부사(지금의 안양이나 과천시장)였던 조부 김익순이 선천에서 일어 났던 홍경래
의 난에 협조를 해서 반역죄인으로 몰리게 되면서 그의 어머니가 夜半逃(달아날도)走(달
릴주)를 하여 숨어 살았는데 김병연이가 똑똑했는지 과거급제를 하게되어 그 시제를 물으
니 그의 조부에 대한 비판을 하는것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조부에 대해 상세하게 얘기하
자 관직을 파하고 갓을 쓰고 세월을 낚었다 한다.
부정부패가 난무했던 시절 거기에 반기를 들고 홍경래의 난이 일어 났던 것이다. 나라에
서 보면 역적이었으나 민중들로서는 정당한 명분 있던 난이었다
粒(알립)
拉(꺽을랍) - 납치에 쓰이는 글자. 또 拉 麵(국수면) = 랍면=라면 ㅂ이 탈락됐다
중국의 길게 뽑은 면을 보고 일본에서 이것을 오래두고 먹으려 개발한것이고 꼬불꼬불 하
게 튀기면 잘 골고루 잘 익고 포장하기 쉽게 만들게 되었다.
라면의 길이는 49m 정도 된다고 한다.
泣(소리없이울읍,울읍) = 눈물을 흐리다. - 읍소에 쓰이는 글자.
泣斬(벨참)馬謖(일어날속) = 가정에서의 싸움에서 제갈량이 산기슭의 도로를 사수하라는 령
을 어기고 마속이 역공할 생각으로 산위에 진을 쳣고 위나라 군사들은 산기슭을 포위하고 산
으로 올라 오지않자 식수가 끊기게 되고 이 포위망을 뚫으려고 싸우다 전병력을 잃게 되었다.
겨우 살아온 마속을 아끼던 부하 였지만 군률과 사기를 위해 눈물을 머금고 베었다는 뜻
竝 (나란할병, 아우를병) - 병렬에 쓰이는 글자.
位 (벼슬위) = 사람이 첫번째 서 있다는 뜻 - 위치에 쓰이는 글자.
端 (바를단, 단정할단) - 은 (끝단,오로지전)자 이다. - 단아하다 할때 쓰이는 글자.
○ 竹 (대죽) : 대를 대나무라 하는데 박쥐가 조류에 속하지 않고 포유동물에 속하듯 대를 나무로 취급하면
안된다 . 식물에는 초본식물(풀) 과 목본식물 (나무) 가 있는데 나이테가 있으면 나무고 없으면
풀이다 그래서 대는 외떡잎식물화본(벼)과로 여러해살이식물에 속하기 때문에 대라고 해야 맞
다. 쌍떡잎식물인 옥수수는 한해살이 식물이고 바나나는 외떡잎식물에 파초과에 속하고
여러해살이 식물이다 .
- 대가지에 대잎이 달려 있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
죽순 , 우후죽순, 烏(까마귀오, 검을오)竹軒(집헌)=검은대나무의뜻>에 쓰이는 글자.
* 孟(맏맹)宗(마루종) = 중국 삼국시대에 24효의 하나로 맹종이라는 사람이 늙은 노모가 추운 겨
울에 죽순이 먹고 싶다하여 대밭에 죽순이 없자 울어서 떨어진 눈물에 죽순이 나왔다하여
생긴말로 중국의 효자중에 한사람이다.
笠 (삿갓립) 의 立 위의 竹 은 ( 대주머리) 라고 한다.
筑(악기이름축) 의 功은( 끌어안을공 =사람손에 뭔가 쥔 형태) 의 글자가 아니라 돗대 형태의 凡이다.
築(쌓을축,악기이름축) - 건축, 방축, 등에 쓰임
篤(돈독할독) =잘 길들여진 말로 믿고 탈수 있는 말을 뜻한다.
篇(책편)
簿( 장부부,문서부) - 가계부에 쓰인 글자
籍(문서적, 서적적)
笛(피리적)
笙(생황생,대자리생) = 생황은 아악에 쓰는 관악기의 하나
○ 米(쌀미) = 이삭에 쌀이 달려 있는 모양
정미소,현미,백미,공양미, 미색(쌀을 도정했을때의색) 에 쓰인 글자.
米 를 나누면 八 十 八 이 되어 米 壽 (88세) 를 말하기도 한다.
벼는 주인의 발자국 소리와 88번의 손을 거쳐야 자라서 쌀이 된다고 한다.
마지기는 말지기에서 나온 말이며 씨앗을 한 말 정도 뿌릴수 있는 농토를 말한다.
覩(볼도)조법=(도지) : 농사를 짓기전에 얼마를 주겠다 약속하는것
打(칠타)조법 : 농사짓고 나서 결과에 따라 주는것
迷(헤멜미,미혹할미) = 길을 헤맨다는 뜻 - 미로, 미궁, 정신이 혼미하다에 쓰인 글자.
謎 (수수께끼미)
눈도 코도 입도 없는 것은 ? (계란)
하나의 우산을 가지고 원숭이 백마리가 비를 안 맞는 방법은 ? (비가 안오면 된다.)
粉 (가루분) = 쌀가루 - 미백효과가 있다고 한다.
粧(단장할장) - 화장품에 쓰이는 글자.
糞(똥분)
○ (실사,가는실멱) = 원래는 가는실멱이다.
絲(실사)
실은 명주실이 최고로 쳐 준다. 누에고치의 입에서 나오는 실의 길이가 1500m 정도 이지만 실을 뽑기
위해 삶아서 물레에 돌리면 100m밖에 안된다 .
練 (익힐련) = 실을 익힌다는 뜻 - 숙련공, 연습에 쓰이는 글자.
緞(비단단) - 융단폭격, 주단에 쓰이는 글자.
紋(무늬문) - 화문석에 쓰이는 글자.
紅(붉을홍) = 옷감에 물들임
綠(푸를록)
緇(검은 비단치, 검을치)
紺(반물감, 감색감) :감색은 일본 말이므로 쓰지 말고 검은빛도는 푸른색을 말하는데 반물의 어원에 대해
정확하게 나온것이 없다.
○ 缶(장군부) : 싸움을 하던 장군이 아니라 똥장군처럼 술이나 액채를 많이 옮길때 쓰는 그릇을 말한다.
尿(오줌요) 素(본디소,휠소) :오줌을 증발시키고 남은 알갱이
寶(보배보)=원래는 집면자에 구슬옥자 + 조개패였다가 장군부가 더해진 글자다.
缸(항아리항)
堈(항아리강,언덕강)
綱(벼리강) - 요강에 쓰이는 글자 * 벼리란 그물 코에 달린 굵은 줄을 말한다. 紀 (벼리기)
陶(질그릇도)
缺(이지러질결) : 그릇을 구울때 이지러진 그릇 - 결함, 결석에 쓰인 글자.
萄(포도나무도)
淘 (일도) : 모래가 있나 조리로 일다는 뜻 -도태에 쓰이는 글자
○ (그물망) = 그물의 짜여짐이 다양해서 3개 모두 같은 의미의 글자다.
음의역활
罔 (그물망, 없을망) -그물로 다 없앤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 망극, 해괴망측에 쓰이는 글자.
網(그물망) - 투항, 어항에 쓰이는 글자
그물의 종류
底(밑저)引(끌인)網: 바다밑바닥으로 끌고 다니면서 깊은 바다 물고기를 잡는 망
鮟(아귀안)鱇(천징어강)網 : 긴 주머니 모양의 통그물로 조류가 빠른 곳에 큰 닻으로 고정하여 놓고 조
류에 밀리는 고기를 잡는 망
定(정할정)置(둘치)網(그물망): 한곳에 쳐놓고 고기떼가 지나가다 걸리도록 한 그물
岡(언덕강)
鋼 (강철강) - 강판 , 철강에 쓰이는 글자
綱(벼리강) - 기강, 대강(줄거리),삼강오륜( 큰줄기)에 쓰인 글자.
剛(굳셀강) - 외유내강, 강인, 금강석, 강직에 쓰이는 글자.
뜻의 역활
羅 (그물라, 벌일라- 양쪽으로 펼쳐 놓은것) 벌릴라는 틀린말이다.
列 (벌일렬) 이지 벌릴렬이 아니다
열자 앞에 오는 글자의 음이 ㄴ 이나 모음으로 끝나면 렬이 열로 바뀐다
龜(손얼어터질균)裂(찢을열) 이고 선동렬이지 선동열이 틀린 이름이다
罪(허물죄) = 새를 잡는다는 뜻 = 自+ 辛 (허물죄) -죄인들에게 문신을 세긴다는 뜻으로 이글자가 있었으
나 皇(임금황)帝(제) 의 제와 비슷하다 하여 허물죄자를 못쓰게함.
罕 (그물한, 드물한) : 그물무늬가 드문드문 있는 형상 - 稀 (드물희) 罕(드물한0에 쓰인 글자.
○ 羊(양양): 양의 뿔과 머리 부분을 표현한 글자이며 중국에선 소와 같이 양도 중요한 동물중 하나다.
소 대신에 쓰인 희생양이다.(속죄양)
음의 역활
洋(큰바다양) : 太(클태)平(평평할평)洋은 사람이 사는 육지보다 더 크고 넓다는 뜻
西洋 은 인도양을 기준으로 서쪽으로 치우친곳
東洋은 터어키를 기준으로 동쪽(대서양) .
海(바다해) - 東海
(강이길양, 긴강양): 물이 길게 흐르는 모양에서 나온 글자 = 永(길영)
樣(모양양) = 똑같은 모양을 나오게 하는 틀
養(기를양)=밥을 줘서 기른다는 표현
養魚場(마당장),
養鷄(닭계)場 ,
奉(받들봉)養 :
養 志(뜻지) : 부모의 뜻을 받들어 지극한 효도를 다하는 것.즉 부모의 뜻을 알고 그 뜻을 받드는
것이 진정한 봉양이라는 뜻(진정으로 부모에게 봉양하는 방법)
어린자식이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은 공부를 열심히 하는 것이다.이것이 양지다.
뜻의 역활
痒(가려울양.앓을양) =(가려울양)
隔(막을격)靴(가죽신화)搔(긇을소)痒: 신발을 신은채 가려운 발을 긁는다는 뜻으로 성에 차지 않거
나 철저하지 못한 안타까움을 이르는말.
祥(복상, 상서러울상) : 제를 지내며 복을 빈다는 뜻
不祥事:나쁘고 언짢은일 , 小祥: 사람이 죽은지 한돐만에 지내는 제사
詳(자세할상, 상세할상) ; 作(지을작)者未(아닐미)詳 , 昭(밝을소)詳=分(나눌분)明하고 仔(자세할자
細(가늘세)함
翔(날상, 빙빙돌아날상) - 飛(날비)翔=공중을 날아다님
群(무리군) - 群鷄(닭계)一鶴(학학) = 무리를 지어 있는 닭가운데 있는 학한마리라는 뜻으로 여러사람
가운데 뛰어난 한사람을 이르는 말
새중에 꿩이 모성본능이 가장 뛰어난 새로 알려져 있다. 뱀이 꿩알을 먹으려 둥지에 오면 퍼득
거리다가 안되면 擬 (헤아릴의) 死= 죽은척을 한다고 한다 . 하지만 양은 새끼를 보호하지 않고
자기만 도망친다고 한다. 꿩은 산불이 났을경우 알이나 꺼병이(꿩새끼)를 품에 앉고 둥지 위에서
죽는다고 한다. 그래서 생긴말이 꿩먹고 알먹고 인데 꿩을 잡으면 절로 알도 온다는 뜻이다.
羔(새끼양고)
軟(연할연) 鷄(닭계) 이지 영계는 틀린말이다.
兒(아이아)猪(돼지저)湯(끓일탕)
(떡고) = (떡고) -쌀로 만든 떡
白 雪 고이지 백설기는 틀린말이다.
羹(국갱, 땅이름랑<낭>)
'부수로 한자정복(중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舌(혀설)~言(말씀언) 2009.6.2.화.천둥과비바람불던날 (0) | 2009.06.03 |
---|---|
羽(깃우)~臼(절구구) . 2009.5.26.화 맑음 수업내용 (0) | 2009.05.27 |
白(흰백) ~示(보일시) 까지(2009.5.12.화.아침에만비오고바람불어추움) (0) | 2009.05.13 |
제5획 玉~걸음발(2009.4.28.화.목단꽃과 모란꽃이 같다를 가르쳐 주신날) (0) | 2009.04.29 |
부수 제 4획~5획(2009.4.21.목.비오고흐리고 바람불고) (0) | 2009.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