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한옥... 망와 망와 망와(望瓦) 장식기와로 지붕의 용마루 양쪽 끝이나 내림마루 및 추녀마루 끝에는 마감을 위하여 암막새를 뒤집어 이은 것과 같은 장식기와가 올라가는데 이를 망새기와, 망와라고 한다. 문양은 다양하여 각종 동물문이 이용되는데 그 중 귀면이나 용의 형상을 한 것 등은 벽사의 뜻을 간직하고 .. 한문의세계 2009.07.10
[스크랩] 한옥... 귀면 귀면 우리 민담 속에는 많은 도깨비 설화들이 전해지고 있다. 그 설화의 내용들이 하도 다양해서 뚜렷하게 도깨비의 형상이나 역할 등을 규정해 말하기 어렵다. 그야말로 도깨비 장난 같은 허구적인 전설일 뿐이다. 「도깨비는 발이 하나다」라는 말은 그 이름을 한자화해서 「독각귀(獨脚鬼)」라는 .. 한문의세계 2009.07.10
[스크랩] 한옥... 살미와 첨차 살미와 첨차 살미와 첨차 1. 살미 살미(山彌)는 다포형식 공포의 보방향으로 놓이는 공포 부재를 통칭하여 부르는 명칭이다. 살미는 건물내외를 관통하여 짜여지게 되는데, 양쪽 끝부분의 형태가 다르다. 드물게 고려시대 주심포집에서는 첨차를 살미위치에 사용하는 예도 있다. 외부 쪽은 마구리가 .. 한문의세계 2009.07.10
[스크랩] 한옥.... 화방벽 화방벽 우리 한옥이 주로 화재에 취약한 목구조이고 더구나 초가집이 많았던 시절에는 늘 불조심을 해야 했다. 고사통의 기술은 실록에 바탕을 둔 것으로 화재에 대비한 화방벽과 기와지붕 장려책을 조정이 나서서 널리 시행하였음을 알 수 있는 소중한 자료라 하겠다. 이처럼 <화방장(火放墻)>은.. 한문의세계 2009.07.10
[스크랩] 한옥... 창문살의 구성 창문살의 구성 1. 정각형/장방형 2. 45도 경사형/기타 3. 마름모형 4. 육각형/완자형 5.원형/기타 6. 세살/교살/격자살/완자살 문양과 창호의 미 ▲ 빗살문과 통일대불(반영: 월정사) 춘하추동(春夏秋冬) 사계절 호젓한 산길을 따라 오르다 보면 심산유곡 깊은 곳에 산사를 만 난다. 일주문, 금강문, 천왕문.. 한문의세계 2009.07.10
[스크랩] 한옥... 문 대문 대문 솟을대문/솟을삼문/평삼문 솟을대문(聳大門)은 대문간 지붕이 양쪽 행랑채 지붕보다 높기 때문이며 평대문보다 격조가 높 다고 여겼다. 양반집에서는 사랑채로 출입하던 중문에는 작은규모의 솟을대문을 세우기도 했는 데 이는 남성 공간인 사랑채와 여성의 공간인 안채의 공간을 달리하였던 .. 한문의세계 2009.07.10
[스크랩] 한옥... 한국의 문 한국의 문 ▲ 해미읍성 진남문, 현실로 존재하는 문이 추상적 상징성을 띠어 영역을 구분하는 경우가 있다 한국 건축에 있어 문은 단순히 독립적인 건축물이라기보다는 하나의 장소를 가리키는 문간(門間)의 성격을 가진다. 간혹 기념물로 지어지긴 하나 대개 문은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담 혹은 .. 한문의세계 2009.07.10
[스크랩] 한옥.... 한옥의 대문 상세도, 문살 한옥의 대문 상세도 문살 문살의 종류 1. 날살문 먼저 세로살의 날실만으로 짜여진 날살문이 가장 초보적이자 바탕을 이루는 것이다. 이는 매우 단출하고 깔끔한 맛을 보여주고 있어 선(禪)을 닦는 수행승의 선방에 어울리며 바라지(窓)로도 많이 쓰인다. 봉정사 극락전(1363년 이전, 국보 15호),이나 부.. 한문의세계 2009.07.10
[스크랩] 한옥... 궁중의 창살 궁중의 창살(창덕궁 낙선재) 창(窓)이라 함은 밀폐된 공간에 구멍을 낸 것을 말한다. 이렇게 벽에 구멍을 내는 이유는 모두가 용도가 있는데, 그 용도에 따라서 그 모양과 방법을 달리 한다. 우선 사람이 드나드는 문이 있고, 방안에서 외부를 바라보거나 환기를 조절을 위한 창문, 또한 낮 동안의 조명.. 한문의세계 2009.07.10
[스크랩] 한옥... 구들 구들 수천년 지혜가 만들어낸 한옥의 난방시설 한옥의 살림집 난방은 아궁이에 지핀 불길이 고래(구들장 밑으로 낸 고랑)를 타고 구들장을 데우는 일부터 시작된다. 안방의 경우에는 부뚜막이 있다. 가마솥을 건 부뚜막에는 큼직한 아궁이가 있어서 장작을 듬뿍 집어넣고 불을 때도 좋을 만큼 넉넉하.. 한문의세계 2009.07.10